텐센트 등 중화권 언론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14일 김 제1위원장 흉내로 유명해진 모델 ‘하워드’(가명)와의 인터뷰를 실었다. 하워드는 넉넉한 풍채에 양옆으로 바짝 깎아 올린 이른바 ‘패기머리’까지 김 제1위원장을 쏙 빼닮았다.
김정은 닮은 모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정은 닮은 모델
올해 34살인 하워드의 원래 직업은 음악가였다고 한다. 그는 “지난 2011년 김 제1위원장이 집권한 뒤 주변사람들로부터 그와 닮았다는 농담을 자주 들었다”면서 “지난해 4월 우연히 김 제1위원장 분장을 한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는데 반응이 좋아서 본격적으로 ‘김정은 닮은꼴 모델’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하워드는 “‘김정은 닮은꼴’이라는 것은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매우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는 최근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한 햄버거 업체 광고도 촬영했다. 집무실에 앉은 김 제1위원장이 햄버거 맛이 없다는 구실로 미국 워싱턴에 핵미사일을 발사하지만 이후 이 업체의 햄버거를 먹고 매우 만족한다는 우스꽝스러운 설정이다.
그는 “쉬지않고 잘 먹기만 한다면 김 제1위원장과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은 매우 쉽다”고 말하면서도 “하지만 외모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항상 불행하고 불만족스러워 보여야 한다는 것”아라고 설명했다.
하워드는 지금도 거리에서 행인들의 요청에 함께 기념사진을 찍어주기도 하고 가끔은 슈퍼마켓에 들러 ‘현지 지도’를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실명이 공개될 경우 김 제1위원장을 자극해 북한 특공대로부터 보복을 당할 수 있다”며 자세한 신분 노출은 꺼리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