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김장 2/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김장 2/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12-16 20:48
수정 2016-12-16 2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당에 있는 수돗가엔 절인 배추가 켜켜이 쌓여 있다. 거실에는 김장에 들어갈 다듬어진 쪽파와 무, 양파가 자리 잡고 있다. 어른들이 밤늦게까지 준비해 놓은 김장감들이다.

객지에 사는 자식들도 아침 일찍 왔다. 손자들을 맞는 어른들은 마냥 즐겁다. 시골집이 모처럼 시끌벅적하다. 시집간 동생도 어린 애들과 도착했다.

가족들이 다 모였다. 큰며느리는 절인 배추를 속속들이 씻고, 작은며느리는 무채를 치고 마늘을 찧는다. 장정이 다 된 조카들도 부지런히 엄마 옆에서 거든다. 제각기 일거리를 맡아도 손이 부족한 듯하다. 어머니는 며느리들을 봐주느라 집 안팎을 오가신다.

김장 속을 버무릴 준비가 끝날 즈음 작은어머니와 사촌 내외까지 합류했다. 대식구다. 온갖 재료가 뒤섞여 빨개진 김장 속을 담은 크고 둥그런 매트 주위에 둘러앉아 배춧속을 넣기 시작한다. 손놀림이 하도 빨라 절인 배추를 나르는 손자들이 바쁘다. 배추가 주는 만큼 김장을 담은 통은 늘어난다.

김장이 끝나자 어머니가 갓 무친 겉절이와 삶은 돼지고기, 막걸리를 내오신다. 어린 조카들의 재롱까지 이어지자 웃음 속에 해가 뉘엿뉘엿 넘어간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12-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