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인문 정책의 실종/우석대 명예교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인문 정책의 실종/우석대 명예교수

입력 2022-03-01 20:32
수정 2022-03-02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전 2021. 인문학의 가치를 아는 정치세력이 보이지 않는다.
대전 2021. 인문학의 가치를 아는 정치세력이 보이지 않는다.
‘논어’의 ‘태백(泰伯)편’에는 ‘민가사유지 불가사지지’(民可使由之 不可使知之)라는 말이 있다. “백성을 이치에 따르게 할 수는 있으나, 그 이치를 다 이해시킬 수는 없다”는 말이다. 공자(기원전 551~479)는 도덕(道德)과 명령(命令)과 정교(政敎)로 백성을 인솔할 수는 있어도 백성에게 일일이 이유를 알려 이해시키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말한다. 공자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 구절을 근거로 공자가 우민(愚民)정치를 옹호했다고 공격한다.

과연 그럴까. 자구(字句) 풀이에서 벗어나 세계사를 바라보면 다른 해석도 가능할 것 같다. 공자는 기원전 5세기 사람이다. 인쇄혁명이 15세기에 있었으니 공자는 그보다 무려 2000년 전 사람이다. 인구 대부분이 문맹자였던 시대다. 활자 미디어를 통한 지식 확산이 불가능한 역사적 조건이다. 공자도 시대의 아들이다. 제아무리 공자라도 극복할 수 없는 시대적 한계가 있다. 공자는 지도자가 할 수 있는 일에 한계가 있음을 고심 끝에 털어놓은 것 아닐까. 이끌고 갈 수는 있되 일일이 이해시킬 수 없는 답답함을 토로한 건 아닐까.

언론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인쇄혁명 없이는 루터의 종교개혁도, 프로테스탄티즘과 ‘근대적 개인’의 등장도 불가능했으리라고 본다. 공자는 일일이 설득하고 이해시켜 가면서 민중을 이끌어 갈 수 없는 시대를 살았다. 공자 이후 1500년 넘게 흐른 중세 유럽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럽의 민중은 예배와 미사가 거행되는 동안 그저 서서 바라보고 있으면 됐다. 예배도 미사도 모두 라틴어도 진행됐는데, 민중은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었고 이해할 필요도 없었다.

인쇄혁명을 넘어 정보혁명의 시대다. 공자처럼 “이치를 다 이해시킬 수 없다”고 변명할 수 없는 시대다. 지도자의 비전과 목표를 대중과 공유하고 설득하지 않으면 안 되는 민주 사회다. 정책결정권자라면 ‘보편과 상식’에 대한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세계사와 현대사 등 인문 교육이 절실하다. 이건 기성세대의 의무이기도 하다.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참고할 일이다. 젊은 세대의 우경화 원인 중 하나가 인문 정책 실종에 있다고 보기에 하는 말이다.

2022-03-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