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주머니 털어 햄버거 300개로 우승 축하 만찬 ‘셧다운 탓’

트럼프 주머니 털어 햄버거 300개로 우승 축하 만찬 ‘셧다운 탓’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1-15 18:55
수정 2019-01-15 2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워싱턴 EPA 연합뉴스
워싱턴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미국대학체육협의회(NCAA) 미식축구 전국선수권을 제패한 클렘슨 대학 선수들을 백악관으로 초대했는데 패스트푸드를 접대해 눈길을 끌었다.

국빈 만찬장에서 연방정부 셧다운 때문에 “미국인들의 패스트푸드”를 접대한다며 햄버거와 피자 등을 몽땅 본인 돈으로 내는 것이라고 생색을 냈다. 은제 접시 위에 웬디스와 버거킹, 맥도널드의 빅맥 등 햄버거 제품 300개와 감자튀김 등을 그대로 쌓아놓았다. 올리브와 토마토를 토핑한 피자 판도 자기 세트 옆에 놓여 있었다. 뉴올리언스를 찾았다가 백악관에 돌아오는 길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어떤 것보다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렇게 덩치 큰 사람들이 먹게 만들었는데 우리는 별로 즐거울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이렇게 패스트푸드로 접대하는 데 얼마나 들었는지 밝히지 않았다.

백악관 풀 기자들은 몇몇 선수가 “웁스”라고 놀라워 했다고 전했다. 사실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 누구보다 패스트푸드를 즐긴다.

그는 “여러분께 아무 음식도 제공 않거나 퍼스트 레이디가 세건드 레이디와 함께 만드는 값싼 샐러드를 먹게 하는 것이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며 “그럴 바에야 우리가 자랑하는 미국인의 햄버거 1000개를 나가서 사오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새러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은 백악관에서 일하는 많은 스태프들이 셧다운 때문에 월급을 못 받고 있다며 “그래서 대통령이 일부만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를 케이터링 주문하고 비용을 부담했다”고 설명했다.
클렘슨 대학 선수들은 트럼프 취임 후 2017년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백악관을 찾았다. 그때는 바베큐 오찬을 대접했다. 와이드리시버 헌터 렌프로는 “1년 중 먹어본 최고의 음식”이라고 극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쿼터백 트레버 로런스를 향해 “이 키 크고 잘 생긴 쿼터백의 에이전트를 하고 싶다. 201㎝로 정확한 패싱 능력을 자랑한다. 정말 잘한다”고 칭찬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29일 가재울 중앙교회에서 열린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에 참석해 어르신들을 격려하고 지역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북가좌1동 사회보장협의회(주관)와 가재울 새마을금고(후원)가 함께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사회보장협의회, 통장단, 새마을부녀회 등 봉사회원들이 참여해 경로당 어르신 150여 명을 초대해 더운 여름을 이겨낼 보양식 삼계탕을 대접했다. 김 의원은 어르신들께 큰절로 인사를 드려 박수받았다. 김 의원은 “시의원의 역할은 ‘지역은 넓고 민원은 많다’라는 좌우명처럼, 서울시 예산을 지역에 가져와 지역 발전과 주민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서울시의회와 서대문구의 주요 소식, 그리고 지역 역점 사업인 시립도서관 건립, 가재울 맨발길 조성, 학교 교육 환경 개선, 경로당 관련 진행 내용 등을 설명하며 어르신들의 민원을 직접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의원은 행사 시작 전 일찍 도착해 봉사자들과 교회 관계자들을 격려하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자리에서 교회 주변 예배 시간 주차 허용 문제와 중앙교회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 참석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