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힐러리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지를 공식 천명한 미국프로농구(NBA) 스타 르브론 제임스(클리블랜드)가 3일(이하 현지시간) 자신의 발언이 오해를 사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제임스는 이날 오하이오주 인디펜던트에서 진행된 트레이닝캠프 훈련을 마친 뒤 미국 ESPN과의 인터뷰를 통해 “내가 뭔가를 할 때면 늘 글 형태로 남기는 것이 좋겠다고 말해왔다“며 “그렇게 하면 오해를 살 일이 없다. 내 느낌을 완벽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그래서 난 그런 방식으로 뭔가를 표현하는 걸 좋아한다”고 말했다.
미국프로농구(NBA) 클리블랜드의 르브론 제임스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식 천명했다. 오하이오주는 이번 대선의 주요 ´스윙스테이트´(어느 후보를 지지할지 대세가 갈리지 않은 주)로 꼽혀 그의 지지 선언이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끈다. 사진은 자신의 재단이 지난 2013년 8월 10일 고향 마을 오하이오주 애크런에서 개최한 불우아동 캠페인 행사 도중 어린이 팬들과 인사를 나누는 모습. AP 자료사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국프로농구(NBA) 클리블랜드의 르브론 제임스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식 천명했다. 오하이오주는 이번 대선의 주요 ´스윙스테이트´(어느 후보를 지지할지 대세가 갈리지 않은 주)로 꼽혀 그의 지지 선언이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끈다. 사진은 자신의 재단이 지난 2013년 8월 10일 고향 마을 오하이오주 애크런에서 개최한 불우아동 캠페인 행사 도중 어린이 팬들과 인사를 나누는 모습. AP 자료사진
지난 2014년 여름 마이애미를 떠나 클리블랜드로 돌아가겠다고 결심했을 때도 그는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I)´에 기고했다. 이번 클린턴 지지의 뜻을 담은 에세이도 2일 저녁 ´비즈니스 인사이더´ 온라인판에 게재했고 3일 오전 ´애크론 비콘 저널´ 지면에 실리게 했다. 제임스는 커뮤니티 확장이나 교육 확대, 미국에서의 인종유대를 강화하는 데 대해 클린턴과 이해를 함께 하기 때문에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오바마 대통령과) 정말 좋은 관계를 맺어왔고 첫날부터 늘, 특히 커뮤니티 관점에서 그의 비전을 좋아했다“고 털어놓은 제임스는 “그리고 버락이 지난 8년 동안 이룬 유산을 힐러리가 유지할 수 있다고 믿는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내가 고향마을에서 해온 커뮤니티 서비스가 굉장히 중요한데 그게 내 주된 포인트”라고 지지 이유를 밝혔다. 그는 자신처럼 어려운 여건에서 자라난 아이들이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재단 사업을 펼치고 있다.
클린턴은 이날 제임스가 태어나 홀어머니와 불우한 성장기를 보낸 오하이오주 애크런의 굿이어홀에서 열리는 오하이오 민주당 유권자 등록 행사에 얼굴을 내밀 예정이다. 그러나 팀 훈련이 두 차례나 있기 때문에 클린턴과 직접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그는 2008년 10월 말 대선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상태에서 힙합 아티스트 제이 Z와 함께 퀴큰론스 아레나에서 오바마 후보를 지지하는 무료 콘서트를 개최한 바 있다. 이달 초에는 제작자 겸 사업가인 러셀 시몬스와 어울려 유권자 등록 캠페인에도 참여한 바 있다.
퀴큰론스 아레나는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가 수락 연설을 한 곳이기도 하다. 홈 경기가 열리는 장소에서 트럼프가 등장한 데 대해 소감을 묻자 “문제될 게 없다. 난 누구 뒤에 서있을 것인지를 알고 있고 일은 그런 식으로 겹치기도 한다. 내가 어찌할 수가 없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 식으로 내가 일상적으로 할 일이 방해받지도 않는다. 그러나 내가 지지하는 이가 누군지, 내가 누구 뒤에 서있을지 알고 있느냐가 중요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지난주 디트로이트에서 모금행사를 열었는데 클리블랜드 구단주 댄 길버트가 소유한 건물에서였다. 하지만 공화당은 임대료를 정확히 지불하고 사용했다고 소식통이 ESPN에 밝혔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