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의혹’ 지영준, 마라톤 대표 탈락

‘약물의혹’ 지영준, 마라톤 대표 탈락

입력 2011-08-01 00:00
수정 2011-08-01 1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국대 김민 최종 승차…남녀 경보·남자 장거리 대표 결정

한국 남자 마라톤의 간판 지영준(30·코오롱)이 부상에 발목이 잡혀 제13회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최종 엔트리에서 탈락했다.
이미지 확대
지영준(30·코오롱) 연합뉴스
지영준(30·코오롱)
연합뉴스


대한육상경기연맹 마라톤·경보 기술위원회는 1일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내 연맹 사무실에서 회의를 열어 지영준과 아킬레스건에 통증이 있는 박주영(31·한국전력)을 마라톤 남자 대표 최종 명단에서 빼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세계대회에는 정진혁(최고기록 2시간9분28초)·김민(2시간13분11초·이상 건국대), 황준현(코오롱·2시간10분43초), 황준석(서울시청·2시간16분22초), 이명승(삼성전자·2시간13분25초) 등 5명이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한다.

한국 선수 중 가장 좋은 기록(2시간8분30초)을 보유한 지영준이 세계선수권대회에 불참하면서 한국 마라톤의 단체전 금메달 목표 달성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단체전은 나라별 출전선수 5명 중 기록이 좋은 상위 세 선수의 성적을 합산해 순위를 매기는 번외 종목으로, 한국은 2007년 오사카 세계대회 은메달에 이어 이번에는 안방에서 금메달을 기대했었다.

지난해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내 세계 대회를 앞두고 청신호를 켰던 지영준은 9개월간 컨디션 조율에 실패해 큰 실망감을 안겼다.

2시간6분대 진입을 목표로 지영준은 동계훈련을 착실히 치렀으나 정작 대회를 앞두고 몸이 좋지 않아 올해 42.195㎞ 풀코스를 한 번도 제대로 뛰지 못했다.

지영준은 지난 2월 제65회 마루가메 국제하프마라톤 대회에서 17㎞까지 뛰다 레이스를 접고서 페이스 조절 차원에서 조깅으로 완주했다.

그러나 3월 서울국제마라톤에서는 경기 당일 감기·몸살 증세로 대회를 포기했고 4월 대구국제마라톤대회도 허벅지 근육통으로 건너뛰었다.

6~7월에는 경찰이 마라톤 선수들의 약물 주입 의혹을 수사하면서 훈련에 지장을 받기도 했다.

현재 강원도 양구에서 대표 선수들과 훈련 중인 지영준은 최근 35~40㎞ 거리 훈련을 한 두 번 정상적으로 치렀으나 지난주 다시 근육통을 호소했고 결국 대표팀에서 낙마했다.

황영조 마라톤·경보 기술위원장은 “지영준이 한국을 대표하는 마라토너이긴 하나 허벅지가 좋지 않다”며 “올해 완주 경험이 없고 훈련도 제대로 치르지 못해 대표팀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민의 체력이 약하다는 평이 있지만 그간 대표팀에서 훈련을 성실히 치러 지영준 대신 대표로 최종 발탁했다”고 덧붙였다.

김민은 지난해 서울국제마라톤에서 2시간13분11초를 뛰고 7위를 차지한 유망주이나 올해에는 좋은 기록을 내지 못했다.

올해 서울국제마라톤대회에서는 저체온증으로 레이스를 중도에 포기했다.

대구국제마라톤에서도 대회 직전 도핑테스트 때 피검사를 받은 탓에 35㎞ 이후 체력이 떨어져 결승선을 걸어서 통과했다.

한편 기술위원회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전략 종목’인 경보와 장거리 트랙 종목에 나설 대표 선수 명단을 확정했다.

남자 경보 20㎞에는 최고기록이 1시간19분31초로 세계적인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평을 듣는 간판스타 김현섭(26·삼성전자)을 필두로 박칠성(29·국군체육부대)과 변영준(27·대구시청)이 나선다.

50㎞ 대표로는 20㎞에도 뛰는 박칠성 외에 임정현(24)과 김동영(31·이상 삼성전자)이 발탁됐다.

전영은(23·부천시청)은 여자 경보 20㎞ 대표 선수로 선발됐다.

또 남자 5,000m 대표로는 백승호(21·건국대)가 이름을 올렸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