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가하는 우병우 전 비서관
가족회사 ‘정강’ 공금 유용 등 각종 비위 의혹이 제기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7일 새벽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조사를 받은 후 귀가하고 있다. 2016.11.7 연합뉴스
하지만 이날 언론을 통해 우 전 수석이 검찰 청사 안에서 웃는 얼굴로 팔짱을 낀 채 서있는 사진이 공개돼 검찰에 대한 ‘봐주기 의혹’ 비난이 일고 있다.
우 전 수석은 전날 청사 앞에서 취재진이 ‘혐의를 인정하느냐’고 질문하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한동안 기자들을 쏘아 보기도 했다.
검찰은 본격적으로 조사를 받기 전 우 전 수석이 수사팀장실에서 차를 대접받았다는 이야기까지 나와 여론의 질책을 받는 등 해명하는 데 진땀을 흘렸다.
검찰은 “우 전 수석은 당시 조사 중이 아니라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부장검사가 팀장에게 보고하러간 사이 후배 검사·직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검찰 관계자는 팀장 면담과 관련해선 “기밀 유출 의혹을 받는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도 조사 전 차를 대접받았다”면서 특별히 대우한 게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검찰의 해명이 궁색한 게 아니냐는 평가를 한다.
소환 시점도 상대적으로 너무 늦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피고발인 신분인 우 전 수석을 향한 수사가 사실관계 규명을 바라는 기대와 달리 무딘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은 소환 이전부터 많이 제기됐다.
우 전 수석의 횡령·직권남용 혐의를 비롯해 처가의 강남역 부동산 거래 의혹, 의경 복무 중이 아들의 보직 특혜 의혹 등을 수사하는 특별수사팀은 이미 꾸려진 지 70일이 넘었다.
특별수사팀이 활동을 시작하고 무려 두 달이 지나서야 의혹의 당사자를 불러들인 검찰이 ‘늑장 소환’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는 이유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우 전 수석이 늑장 소환된 것도 모자라 ’황제 조사‘를 받고 나왔다”며 “검찰이 불구속 기소나 약식 기소로 수사를 마무리하려 하면 국민의 저항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