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이상이 10만명당 2453명 최다
무좀 때문에 병원을 찾은 환자가 최근 5년간 무려 5만명이나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 노인층 무좀 환자가 많았다.건강보험공단이 26일 2009~2013년 병원 진료를 받은 무좀 환자를 분석한 내용을 보면 환자가 2009년 78만명에서 2013년 83만명으로 연평균 1.5%씩 늘었다. 연령별 인구수에 따른 진료 환자는 2013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2453명, 60대가 2454명으로 가장 많았다. 나머지 연령대는 50대가 2194명, 40대가 2025명, 30대 1736명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무좀 환자가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만성질환으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한 환자가 늘어나 노인층에서 무좀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무좀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잘 발병한다. 다 나은 듯해도 자주 재발해 치료 후에도 꾸준한 발 관리가 필요하다.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지간형 무좀과 발바닥에 주로 생기는 수포형 무좀은 심하게 가려운데, 그렇다고 마구 긁으면 염증이나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다.
무좀은 대개 항진균제를 도포해 치료한다. 항진균제로도 호전되지 않으면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해야 한다. 예전의 경구용 항진균제는 간 독성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요즘에 나오는 약은 별문제 없이 복용할 수 있다. 발만 깨끗하게 유지할 게 아니라 신발을 자주 바꿔 가면서 신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관리해야 무좀이 재발하지 않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4-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