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 남풍 타고 中내륙 이동 내일 남부비… 미세먼지 씻길 듯
지난 7일 중국 베이징에서 최악의 ‘스모그’가 발생해 사상 처음으로 최고 단계인 ‘적색경보’가 발령됐다. 중국에서 적색경보는 지름 2.5㎛ 이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0㎍/㎤ 이상인 상황이 사흘 이상 지속될 때 발령된다.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는 8일 “중국과 한반도의 대기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베이징의 스모그가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9일 한반도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부는 남풍과 남남서풍 계열의 바람이 불게 된다. 한반도에서 중국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데다 고기압의 중심이 한반도에 자리잡고 있어 중국발 미세먼지가 서해를 건너 우리나라를 습격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다. 환경과학원 역시 베이징에서도 남풍 계열의 바람이 불고 있어 오염물질은 중국 내륙 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목요일인 10일 오전부터 11일 오전까지 제주와 남부 지방에 비가 예보돼 있어 대기오염물질이 씻겨 내려가는 ‘레인 워시’ 효과도 예상된다.
진형아 대기질통합예보센터 연구원은 “바람의 방향이나 날씨 예보를 종합해 볼 때 이번 중국발 스모그가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은 미미하며, 9일 이후 중국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이 한반도 쪽으로 바뀌어 일부 넘어온다고 하더라도 10일 내리는 비에 씻겨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발 스모그가 자주 발생하고 농도도 짙어지는 만큼 베이징 스모그가 사라지는 10일 이후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앞서 8일 오후부터 9일 오전까지 중부와 전라북도 지방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상태로 예보되긴 했지만 이는 한반도 대기 정체로 인한 국내 오염물질의 축적이 원인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겨울철 대기가 정체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도 중부 내륙을 중심으로 바람이 없는 상태가 사흘 이상 지속되고 있다”며 “이 때문에 국내에서 발생한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현장 배출가스 등 오염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5-12-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