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육복지 전문인력 확대 배치로 맞춤형 학생지원을 강화한다(경기도교육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기도교육청이 교육복지 전문인력 확대 배치로 맞춤형 학생지원을 강화한다(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교육복지조정자를 추가 채용한 뒤 교육 취약계층 학생이 많은 지역 교육지원청에 우선 배치해 촘촘한 교육복지안전망을 구축한다.
그동안 경기도교육청은 2020년도부터 교육지원청에 배치된 교육복지조정자 정원에 지속적으로 결원이 발생한 데다 내년 3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시행을 앞두고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선도학교(44교), 시범교육지원청(12청)을 운영하면서 인력 충원 요구가 늘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교육복지조정자 결원 채용 및 저소득층 학생 수가 많은 교육지원청에 우선 배치하는 것으로 개편해 3개 교육지원청(구리남양주, 화성오산, 동두천양주)에 신규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특히, 화성·오산의 경우 젊은 층 유입으로 학생 수와 학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교육 취약계층 학생과 지역 내 교육격차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학생 맞춤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도교육청 최초로 사회복지직 공무원 20명을 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용해 모든 교육지원청에 교육복지 전문인력을 배치했다.
엄신옥 도교육청 복지협력과장은 “어려움에 처한 학생을 학교 안에서 모두 지원하고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인력 충원을 통해 교육지원청의 학교 지원 역할을 강화하고 앞으로도 사회복지직 공무원 추가 배치를 위해 노력해 교육 취약계층학생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복지조정자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학생들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복지 전문인력이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