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권대 경쟁률 상승…하향안전 지원 경향

중위권대 경쟁률 상승…하향안전 지원 경향

입력 2013-12-25 00:00
수정 2013-12-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익대·숭실대 큰 폭으로 올라

2014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를 24일 마감한 홍익대, 숭실대 등 중위권 대학의 경쟁률이 작년보다 상승했다.

총 수험생이 2만여명 줄어든 가운데 중위권 대학의 절대적인 지원자 수는 작년보다 줄었지만 일부 대학의 경쟁률이 크게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작년보다 경쟁이 치열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정시 원서접수를 마감한 홍익대의 일반전형 경쟁률은 9.07대 1을 기록, 지난해(7.28대 1)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홍익대는 특히 다군의 경쟁률이 18.42대 1을 기록했고, 이 중 38명을 모집하는 자율전공에 1천52명이 몰려 27.6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숭실대는 5.63대 1로 지난해(3.77대 1)보다 1.5배가량 올랐다.

건국대는 이날 정시 일반전형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경쟁률이 8.78대 1로 작년의 8.59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가장 경쟁률이 높은 모집단위는 ‘다’군 예술학부 영화전공(연기)로 78.6대 1을 기록했다.

화학공학과(26.5대 1), 화학과(23.75대 1), 문화콘텐츠학과(22.75대 1), 수학과(22.5대 1), 영어영문학과(22.5대 1),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21.83대 1), 생명과학특성학부(20.75대 1) 등 일부 인기학과의 경쟁률이 20대 1을 넘었다.

반면 경희대, 중앙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세종대, 광운대는 소폭 하락했다.

경희대 서울캠퍼스는 6.56대 1로 지난해(7.74대 1)보다 하락했다.

학과별로는 다군의 정보디스플레이학과가 8명 모집에 276명이 지원해 34.5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중앙대 서울캠퍼스는 6.18대 1로 지난해(6.25대 1)보다 다소 하락했다.

학과별로는 의학부(6.13대 1), 경영학부 글로벌금융(9.0대 1), 생명과학과(7.43대 1),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연기(77대 1)로 나타났다.

서울시립대는 843명 모집에 5천45명이 몰려 평균 5.98대 1로 지난해(7.99대 1)보다 크게 떨어졌다.

학과별로는 다군의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가 10명 모집에 462명이 지원해 46.2대 1로 가장 치열했다.

서울여대는 767명 모집에 총 4천86명이 지원, 5.3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경쟁률은 5.90대 1이었다.

세종대와 광운대는 각각 5.40대 1, 4.4대 1로 (지난해 5.72대 1, 6.01대 1)보다 다소 낮아졌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평가이사는 “총 수험생 수는 지난해보다 2만여명이 줄어들어 중위권 대학의 지원자 수는 작년보다 감소했지만 홍익대, 숭실대 등의 상승폭이 크고 경쟁률이 낮아진 대학의 하락폭은 작았다”고 설명했다.

오 이사는 “올해 선택형 수능이 도입되고 작년보다 문제가 어렵게 출제돼 전반적으로 하향 안전지원 경향이 나타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4)이 지난 30일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등과 함께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서남부농협 하나로마트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감사, 당근, 수박, 복숭아 등 13개 품목을 대상으로 농축산물 할인지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축산물 실시간 타임세일, 주말세일 등 자체적으로 할인행사를 실시 중으로,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농식품부가 여름 휴가철 소비자 장바구나 물가 경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이 하나로마트 등을 비롯해 계획되고 진행되고 있는지 추진 상황 및 진행과정을 점검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점검에 참석한 유정희 서울시의원과, 송미령 농식품부장관 및 박준식 서울서남부농협 조합장은 농축산물 수급상관 및 할인지원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 방안 논의를 이어갔으며, 하나로마트 고객들의 현장 여론 또한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 의원은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에 대한 설명 이후, 산지와의 직거래를 통한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