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10위 “역대 최고순위”

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10위 “역대 최고순위”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22-06-14 19:00
수정 2022-06-14 1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스타트업 지놈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조사 결과
쿠팡 등 대규모 자금회수 높게 평가
美 실리콘벨리, 뉴욕, 英 런던 등 1~2위

서울시가 세계 280개 도시 중 ‘창업하기 좋은 도시’ 10위에 올랐다.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는 223조(1770억 달러)로 평가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창업허브 전경 서울시 제공
서울창업허브 전경
서울시 제공
미국의 창업환경 평가업체인 ‘스타트업 지놈’이 14일 발표한 세계 100개국 280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해 16위에서 6계단 상승한 10위를 기록했다. 같은 조사에서 서울은 2020년 20위, 2021년 16위에 이어 올해 역대 최고 순위인 10위에 올랐다. 서울의 창업생태계에 대한 가치 평가는 2020년 47조원에서 2021년 54조원, 올해 223조원으로 2년간 4배 이상 성장했다.

스타트업 지놈은 쿠팡 등에서 투자자가 투자금을 돌려받는 자금회수(exit)가 대규모로 이뤄진 점이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서울의 초기단계 자금조달이 크게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번 평가에서 서울은 자금조달 부문에서 베이징과 도쿄를 제치고 아시아 도시 1위에 올랐다.

서울시가 투자유치 전담기구인 ‘서울투자청(Invest Seoul)’을 통해 공격적인 해외 투자에 나선 것과 여의도(핀테크), 홍릉(바이오의료), 양재(인공지능) 등 권역별 창업거점을 조성한 점도 높게 평가받았다.

시는 코엑스·테헤란로에 ‘자율주행 배달로봇 실증’을 시작으로 수서 로봇 클러스터 조성 등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와 지원체계를 갖추는 등 향후 지속적으로 창업생태계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글로벌 창업생태계 1위 도시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였으며 미국의 뉴욕과 영국 런던이 공동 2위, 보스턴(미국)과 베이징(중국)이 각각 4위와 5위에 올랐다. 20위 내 아시아 도시는 서울 포함 5개로 베이징(5위), 상하이(8위), 서울(10위), 도쿄(12위), 싱가포르(18위) 순이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묵묵히 국민과 시민의 보편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생활체육지도자의 헌신을 기억하며,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개선 정책 실행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당한 보상조차 이뤄지지 못한 일들이 많다”라고 강조하면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20년을 일해도 신입과 급여가 같아 생계유지가 어렵다”라는 호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도 4월을 기준으로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3개 자치구는 공무원보수규정을 준용해 생활체육지도자에 대한 호봉제를 시행하는 등 자체적으로 처우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볼 때 서울시도 기계적인 보조금 집행만으로 제 할 일 다했다고 자부할 게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점검하고, 이를 혁파해 시민들의 생활체육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단일급 체계로 급여를 받는 생활체육지도자들에게는 직업 활동이 어떠한 유인도 자극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콕 짚어 이야기하면서 “지금과 같은 급여 구조로는 돈은 돈대로 쓰면서 성과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유니콘 기업 40개가 탄생하는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서울이 글로벌 5위 경제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