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보다 1~2도 추웠던 2011년…가습기살균제 사망자 40% 달해”

“평년보다 1~2도 추웠던 2011년…가습기살균제 사망자 40% 달해”

이성원 기자
입력 2016-06-02 22:52
수정 2016-06-03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대 ‘공중보건의 위기’ 집담회

살생물제가 함유된 가습기 살균제는 대략 2000년부터 대량으로 팔리기 시작했다. 그런데도 피해는 2011년 전후에 집중됐다. 왜 그랬을까.

“2011년은 평년보다 1~2도 추웠고 난방을 많이 하다 보니 가정마다 가습기를 더 많이 틀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2일 서울대 교수학습센터에서 열린 ‘가습기 살균제와 공중보건의 위기’ 집담회에서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1, 2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조사에서 공식 인정된 폐 손상자 221명 가운데 2011년 인정자는 42%(92명)이며 사망자도 95명 중에 40%(38명)가 2011년에 숨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교수는 신종플루와 구제역 사태를 겪으며 감염 위생에 민감해진 사회적 분위기도 2011년에 피해가 집중된 배경일 것으로 추정했다. “2009년 신종플루, 2010년 구제역 사태를 겪으면서 살균제 구매가 급증했을 수 있다. 2000년 이전에는 가습기 살균제 제품이 2개밖에 없었지만 이후 새로운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살균제 농도를 높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제품별 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옥시 싹싹’만 사용한 폐 손상자가 85명(39%)으로 가장 많았고 다른 제품을 섞어 사용하되 옥시 싹싹을 절반 이상 사용한 피해자가 66명(30%)으로 두 번째였다. 이외 ‘세퓨’만 사용한 경우(24명·11%), ‘롯데 와이즐랙’을 절반 이상 사용한 경우(16명·7%) 등이 뒤를 이었다.

박 교수는 1차 책임은 기업에 있다면서도 화학물질에 의한 중독을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다는 점에서 정부의 책임을 지적했다. 그는 “유해 물질을 잘 관리하지 못한 환경부의 책임이 크다고 하지만, 실제로 더 큰 책임이 있는 것은 2011년까지 화학물품을 관리한 산업통상자원부”라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보건기구(WHO) 회원국의 47%에 국가독성물질센터가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중독 사고를 관리하기 위해 이런 통합적 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를 막으려면 생활환경과 관련한 화학물질 안전을 총괄하는 단일 행정부처를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6-06-0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