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깃집서 막걸리집까지… ‘한국 술문화 체험’ 외국인 5명 따라가보니
지난 19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낙원상가 인근의 한 고깃집. 불판 위에서 지글지글 익어 가는 안창살과 껍데기를 놓고 둘러앉은 외국인 5명이 눈을 반짝이고 있었다. 이들은 온고푸드가 주관한 술문화 체험 행사에 지원한 외국인 그레그 슈뢰더(33·미국), 마리 매클래런(34·여·캐나다), 데이비드 리다(55·미국), 웨인 골딩(46·호주), 대니얼 가드너(35·미국). 술문화 체험 가이드 역할을 맡은 업체 직원 대니얼 그레이(34)가 ‘소맥’(소주+맥주)을 한 순배 돌리자 맥주만 마시던 1차의 서먹했던 분위기가 달아올랐다. 다섯 살 때 미국으로 입양을 갔던 그레이는 연어가 회유하듯 2005년 모국으로 돌아왔다. 20년을 산 미국보다 어느새 한국의 음주문화에 더 익숙해졌다.
노가리를 앞에 놓고 잔을 번쩍 들어 건배하는 외국인 술문화체험 참가자들. 왼쪽부터 그레그 슈뢰더, 마리 매클래런, 데이비드 리다, 웨인 골딩, 대니얼 가드너, 가이드인 대니얼 그레이.
어느새 술잔을 비운 이들은 노가리와 골뱅이무침이 나오는 선술집으로 3차를 갔다. 노천 테이블마다 손님들이 가득 차 정겨운 분위기가 풍겼다. 친구의 결혼식에 참석하려고 한국에 온 리다는 한껏 들뜬 표정으로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그는 골뱅이무침과 빈대떡, 삼겹살, 치킨, 생선구이 등을 열거하며 “놀라운 맛”이라며 손가락을 치켜세웠다.
라이브바로 옮기자 더 솔직한 얘기들이 나왔다. 한때 흡연자였다는 매클래런은 “여전히 한국 식당, 술집에서는 담배 연기 탓에 불쾌해지곤 한다”면서 “미국에서는 50년 전에나 볼 수 있던 모습”이라고 말했다. 슈뢰더는 “미국인들은 개인적인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사생활이랑 공적 생활에 구분이 별로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들은 한국은 장점이 많은 나라라고 입을 모았다. 매클래런은 “예전에 술에 잔뜩 취한 채 지하철에 탔었는데 주머니에서 빠져나간 5000원짜리 지폐를 어떤 사람이 주워줬다”면서 “미국에서는 술에 취해 지하철을 타면 돈이나 물건을 잃어버리는 일이 흔해서 ‘드렁크 페이’(Drunk Pay)로 생각하고 잃어버려도 그러려니 한다”며 웃었다.
라이브바에서 아바의 ‘댄싱퀸’에 맞춰 몸을 흔드는 것을 마지막으로 이방인들의 한국 술문화 체험 투어는 끝났다. 못내 미련이 남은 일행은 슈뢰더가 사랑하는 막걸리와 파전을 먹으러 종로 뒷골목으로 사라졌다.
글 사진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4-06-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