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서 외면당하는 교과서

수능에 출제되는 주요 과목은 유명 참고서나 EBS 수능교재가 교과서를 대체한 지 오래다. 인정 교과서 비중이 크게 늘어 교과서 종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오히려 핵심 내용만 모은 참고서가 학생들의 구미에 맞는다는 것이 일선 학교 측의 분석이다.
17일 일선 학교 현장에 따르면 수능시험을 6개월 앞둔 고교 3학년은 물론 1~2학년 교실에서도 교과서 대신 참고서와 문제집을 활용한 수업이 성행하고 있다. 서울 강북지역의 한 고교 2학년은 수학 교과서 대신 EBS 수능 특강 교재로 수업을 한다. 이 학교 연구부장교사는 “수능과 EBS 교재 연계율을 70%로 고수하겠다는 정부 방침으로 현재 대부분의 학교가 EBS 교재를 수업에 쓴다”고 말했다.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이 큰 특수목적고와 자율형 사립고의 경우 교과서를 외면하는 경향은 더욱 두드러진다. 한 자사고의 경우 영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수업교재를 교사들이 직접 만들고 EBS 교재를 부교재로 쓴다. 이 학교의 수학교사는 “시중에 나와 있는 고교 수학교과서 전부와 EBS 교재, 참고서까지 모두 섭렵해 최대한 많은 문제유형과 개념을 담았다”면서 “특정 출판사의 교과서만 가지고 수업을 했다가 수능에서 이 교과서에 실리지 않은 다른 유형의 문제가 나올 경우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체 교과서 시장에서 인정교과서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도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 외면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출판사가 자체 개발해 시·도 교육청의 심사를 받는 인정 교과서의 경우 출판사마다 저자와 책 내용이 달라 한 권으로만 공부하면 다른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빠뜨릴 수 있다는 불안감이 적지 않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쓰이는 인정 교과서의 과목별 종류는 모두 451종으로 2011년 전체 교과서 대비 45%였던 비중이 지난해 4월 기준 84%로 늘었다. 같은 기간 국정·검정 교과서 비중은 39%와 16%에서 9%와 7%로 각각 줄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문제집이나 참고서에 의존하지 않고 교과서를 통해 모든 교육과정을 대비할 수 있는 자기완결형 교과서를 만들어 교과서 중심의 학습환경을 보강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7년까지 460여억원을 투자해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5-1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