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전 이산상봉 무산 8만 이산가족 한숨만
“죽기 전에 추석에 성묘라도 한 번 할 수 있었으면….”추석이 다가오면서 이산가족들의 가슴앓이는 심해진다. 지난해 11월 2차 이산가족상봉을 앞두고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한 뒤 10개월이 넘도록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몇주전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추석 전에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겠다는 발언을 한 뒤 무산된 터라 이들의 가슴이 더욱 미어진다. 이상철 ‘1000만 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은 “이벤트성의 상봉행사보다 생사확인이라도 했으면 좋겠다.”면서 “헤어진지 61년이나 지나 80대가 넘은 분들에게 무슨 이념이 필요하겠느냐.”고 말했다.
2001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으로 등록한 사람은 12만 8000명. 이 가운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1800명에 지나지 않는다. 이마저도 이산가족의 고령화 탓에 이미 4만 8000명은 사망했다. 앞으로 사망률 증가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적십자위원회가 규정한 심인(尋人)사업은 주소 및 생사 확인→서신교환→상봉 및 상호지역방문→자유의사에 따른 재결합 순으로 이뤄진다. 단발성 만남은 고령의 이산가족을 더욱 지치게 하고 상실감만 키우고 있다. 실제 상봉자의 70~80%는 ‘괜히 만났다.’는 반응을 보이거나, 상봉 후 상실감을 견디지 못해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산가족들은 인도적인 문제를 정치적 문제와 별개의 사안으로 다뤄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 사업을 정부에서 독점할 것이 아니라 민간에 맡겨 정치·군사적 사안이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교류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 위원장은 “금강산 피격사건,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발목이 잡혀 북한에 이산가족 문제를 제기하기 힘들어지지 않았느냐.”면서 “어떠한 정치적 상황에서도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라 이산가족 문제를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원칙이 스스로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라고 지적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9-1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