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2일 위성사진에 석탄 선적 부두 앞 대형 선박 포착 北, 지난해 4500억원 어치 석탄 수출… “중국이 허용”
이미지 확대
위성사진 서비스업체 ‘플래닛 랩스’가 지난 22일 북한 남포의 석탄 항구를 촬영한 위성사진. 석탄 항구에 약 155m 길이의 대형 선박이 정박한 가운데 선박의 적재함과 바로 옆 부두에 석탄으로 보이는 검정색 물체가 쌓여있다. 미국의소리(VOA)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위성사진 서비스업체 ‘플래닛 랩스’가 지난 22일 북한 남포의 석탄 항구를 촬영한 위성사진. 석탄 항구에 약 155m 길이의 대형 선박이 정박한 가운데 선박의 적재함과 바로 옆 부두에 석탄으로 보이는 검정색 물체가 쌓여있다. 미국의소리(VOA)
북한 남포의 석탄 항구에 두 달여 만에 대형 선박이 정박한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고 미국의소리(VOA)가 23일 보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에 의해 금지된 석탄 수출을 북한이 코로나19 사태로 잠시 중단했다 재개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위성사진 서비스 업체 ‘플래닛 랩스’가 지난 21일 남포 석탄 항구를 촬영한 위성사진에는 약 155m 길이의 선박 한 척이 석탄을 선적하는 부두 옆에 정박한 모습이 식별된다. 22일 사진을 보면 동일한 선박이 같은 자리에 있었고, 선박의 적재함과 선박 옆 부두에는 석탄으로 추정되는 검정색 물체가 가득해있었다고 VOA는 전했다.
앞서 남포의 석탄 항구에는 올해 초까지 선박이 드나들었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난 2월부터 선박이 보이지 않았다. 지난해 석탄 항구에서 발견된 선박이 최소 71척, 월평균 6척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석탄 수출을 잠정 중단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후 두 달여 만에 석탄 항구에 대형 선박이 정박하면서 석탄 수출을 재개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유엔 안보리는 2017년 대북 제재 결의를 통해 북한의 석탄 등 광물 수출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석탄을 해상에서 환적하는 방식 등으로 제재를 피해 석탄 수출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발표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 전문가패널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석탄 수출은 지난해 1~8월 최소 370만 톤, 3억 7000만 달러(약 4500억원) 규모로 이뤄졌다. 전문가패널은 지난해 11~12월 남포항과 송림항에서 각각 최소 103척, 34척의 화물선이 석탄 수출에 동원된 것으로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했다고 전했다.
특히 전문가패널은 북한 선박들이 중국 항구 인근에서 석탄을 환적하거나 중국 해운사 소속 선박들이 직접 북한 석탄 운반에 가담했다고 밝힘에 따라 중국이 북한의 불법적인 석탄 수출에 관여 내지 묵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닐 와츠 전 전문가패널 위원은 VOA에 “중국 등이 북한 대외 수출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석탄 수출을 허용해 북한 경제를 지탱하도록 하고 있고, 이를 통해 북한이 석유 수입 대금 등을 낼 수 있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