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국빈 방중기간 대학특강 왜

朴대통령, 국빈 방중기간 대학특강 왜

입력 2013-06-24 00:00
수정 2013-06-24 0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시 의회 시스템 없어 대학 선택한 듯中… 미래세대에 좋은 인상 심어주는 포석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7일부터 3박4일간의 중국 국빈방문 기간 대학에서 연설을 할 계획이다.

24일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지난달 초 미국을 방문했을 때는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장에서 연설을 했지만, 이번 중국 방문에서는 베이징의 대학 한 곳을 찾아 특별강연 형식으로 자신의 정치철학을 소개하고 한중 양국의 미래 비전을 보여주는 연설을 펼친다.

박 대통령이 의회 대신 대학을 찾는 가장 큰 배경으로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정치 구조가 우리와 다르기 때문이라는 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중국에는 우리의 국회 격으로 위원이 2천여명이나 되는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가 있지만 매년 봄 한 차례만 열흘의 전체회의 회기가 있다.

나머지 기간에는 전인대 위원 가운데 골라 뽑은 상무위원회(약 200명)가 법률 심사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중국의 의회는 상시로 열리는 시스템이 아니어서 박 대통령은 의회보다는 대학을 연설 장소로 택한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2003년 7월 중국을 국빈방문했을 때 중국의 최고 명문대 중 하나인 칭화대(淸華大)를 찾아 연설했고, 빌 클린턴, 조지 부시, 버락 오바마 등 전·현직 미국 정상들도 중국을 찾으면 베이징대나 칭화대를 찾아 연설을 했다.

박 대통령이 대학을 찾는 또다른 배경으로는 중국의 미래 세대에게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만큼 입시 경쟁이 치열한 중국에서 베이징에 위치한 대학에는 그야말로 초엘리트들이 다니고 있다.

앞으로 중국을 이끌어갈 지도자가 될 가능성이 큰 이들에게 자신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는 한편 한중 양국이 협력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며 지지를 끌어낸다는 것이다.

중국의 지도자들도 미래세대, 후대(後代)를 매우 중시해 다른 나라를 방문할 때는 주로 해당국의 주요 대학을 찾아 연설이나 특강을 해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3월 취임 후 첫 외국 방문지인 러시아를 찾았을 때 외교관 양성소인 모스크바 국제관계학원에서 연설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달 30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 커뮤니티실에서 열린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회장 홍기윤) 제3차 정기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나령 동장과 지역사회 복지관장 등도 참석했다.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36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관내 최다 인원 단체로, 지역 내 다양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반기 주요 행사 성과 보고가 진행되었다. 삼계탕 나눔 행사, 치매 예방 교육, 독거 어르신 반찬 지원 사업 등 협의체의 활발한 활동 내역이 공유됐으며, 김 의원은 특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내용을 담은 책 발간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이어 올가을 개최 예정인 구민 체육대회와 가재울 축제, 어르신 그림 그리기 대회, 요리 여행, 이불 증정 행사 등 하반기 사업 계획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회원들에게 관내 시립도서관 건축 현황과 홍제천 관련 사업 내용 등 서울시 예산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서울시의원으로서 올 상반기 의정활동 내역을 전했다. 또한 김 의원은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