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에서만 20년 넘게 일한 정통 관료 출신이다. 7급으로 시작해 장관 후보까지 올랐다.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선 캠프에 환경정책담당 특보로 합류한 뒤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 지속가능추진단장을 지냈고, 인수위 전문위원까지 맡고 있다. 당선인의 환경 관련 7개 분야, 16대 약속, 10개의 실천 과제 밑그림을 그려 낸 인물로 평가받는다. 환경부 직원들에게는 꼼꼼하고 철두철미한 업무 스타일에 분석적이면서 논리적이기까지 해 깐깐하고 불편한 상사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환경부에서는 ‘독일병정’으로 불린다. 보고서와 각종 서류를 검토하는 데 쓰려고 아침마다 연필을 열 자루씩 깎아 놓았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대선 과정에서 당시 박 당선인이 4대강 관련 공약을 내놓지 않은 점이나 원자력발전소 문제 등에 대해 미지근하게 대처하도록 한 장본인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부인 조필영(56)씨와 2남.
박록삼 기자 jsr@seoul.co.kr
2013-02-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