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대해부] <6>야권 비주류 정치인 홍준표

창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홍준표 의원이 지난 3일 국민의힘 경남도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창원 연합뉴스
창원 연합뉴스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어린 시절 홍 의원(왼쪽)이 큰누나와 함께 찍은 가족 사진.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 의원이 대구 영남고 재학 시절 입시를 준비하며 자신의 친구들과 함께 기념촬영한 사진.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1970년대 홍 의원이 고려대 법대에 재학 중이던 시절 찍은 사진.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 의원이 1978년 고려대를 졸업하며 찍은 기념사진.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 의원(오른쪽)이 자신의 큰아들 돌잔치 때 찍은 가족 사진.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2009년 ‘변방’이란 제목의 자서전까지 펴냈던 그는 2011년 7월 한나라당 대표 자리에 오르며 중심부에 우뚝 서는 듯했다. 그러나 자신이 내놓은 당 쇄신안이 문제가 돼 취임 5개월 만에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고, 그 자리는 ‘조기 등판’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채웠다.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검사 시절 홍 의원의 모습. 1982년 사법시험(제24회)에 합격해 스타 검사 생활을 한 홍 의원은 1995년 검사복을 벗었다.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홍준표 의원 캠프 제공
거칠고 직설적인 언사는 홍 의원의 ‘트레이드마크’이자 그에 대한 호불호를 가르는 대표적인 기준이다. 대표 시절부터 그의 막말은 유명했으나 #막말준표, 홍트럼프(홍준표+트럼프) 이미지가 대중들에게 강하게 각인된 것은 2017년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시절이었다. 당시 ‘성완종 리스트’에 자신의 이름이 오른 것과 관련, “대법에서 유죄가 나면 노무현처럼 자살도 검토하겠다”고 말해 상당한 논란이 됐다. ‘양아치, 쓰레기, 아구통’ 같은 단어를 거침없이 썼고 여성 기자에게 “너 진짜 맞는 수가 있다”거나 “집에 가서 애나 봐라” 등 여성 차별적 발언에도 거리낌이 없었다.

이번 대선에서는 본격 경선이 시작되기 전까지 홍 의원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윤 전 총장이 주춤한 사이 홍 의원의 지지율은 무섭게 오르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2030 사이에 #무야홍(무조건 야권 후보는 홍준표)이란 표현까지 유행하고 있다.
2021-09-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