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1000명 대상 여론조사
K방역 ‘잘한다’ 56%…70%선에서 큰 폭 하락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 ‘38%’ 최저치
“부동산 정책 실망”…부정평가는 54% 최고치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12. 7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물은 결과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는 56%로 집계됐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2%였다.
코로나 대응 긍정 평가는 일일 확진자 수가 한 자릿수까지 떨어졌던 5월 초 85%까지 치솟았고, 최근 확산세가 뚜렷해진 10월(74%)과 11월(72%)에도 70%선을 유지했다. 그러나 확진자가 급증한 이달 들어 급락한 것이다.
한국갤럽은 “12월에 일평균 확진자가 600명 이상으로 늘어나고, 최근 거리두기 단계 조정이 잦으며 혼선이 빚어진데다 백신 수급 불확실성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와 관련해서는 “경제활동이 위축되더라도 방역에 더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의견이 54%에 달했다. “경제활동 유지와 방역에 비슷하게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은 41%였다.
코로나19 확산세 속 가구소득 변화와 관련해서는 ‘줄었다’ 45%, ‘늘었다’ 3%, ‘변화 없다’ 50%로 나타났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강북의 아파트단지의 모습.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반대로 부정평가는 전주보다 3% 포인트 상승, 5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긍·부정평가 간 격차는 13%포인트다. 앞서 문 대통령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논란 끝에 사퇴할 당시인 지난해 10월 셋째주, 부동산 여론이 극도로 악화했던 지난 8월 둘째 주에 국정조사 긍정평가가 39%를 기록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부동산정책’이 18%로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가 12%, ‘인사 문제’ 7% 등이 뒤를 이었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코로나19 대처’가 25%로 가장 높았고 ‘검찰개혁’이 10%로 집계됐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전주보다 2% 포인트 상승한 35%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역시 1% 포인트 오른 21%로 집계됐다.
이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