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이번엔 쇄신안 신경전
새누리당의 7·14 전당대회 쇄신 방안을 둘러싸고 양강 당권 주자들이 24일 날 세운 신경전을 벌였다. 친박근혜계 맏형인 서청원 의원은 전날 초·재선 의원 35명이 가담한 쇄신전대추진모임(이하 쇄신모임)의 쇄신 요구에 대해 ‘특정 후보의 입김이 작용했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서청원, 김무성 의원 둘 다 자신이 ‘화합과 혁신의 전대 주자’임을 자처하며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 양상이다.유력 주자인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를 향한 깨끗한 전당대회가 돼야 한다”면서 상대 후보들에게 “국민 앞에서 공개적인 신사협정 체결을 하자”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각 후보의 대리인으로 구성된 클린 전당대회 협의체를 이른 시일 내에 만들자”면서 “전당대회 기탁금도 낮추고 참가 당원들의 경비도 중앙당이 보조하면서 저비용·클린 전당대회가 되게 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서 의원은 서울 마포구 경찰공제회관에서 열린 당원 간담회 직후 기자들로부터 쇄신모임에 대한 질문을 받고 “쇄신모임에 참석한 사람들 중 일부는 특정 후보의 왼팔, 오른팔인데 무슨 쇄신을 말할 자격이 있느냐”고 일침을 놓았다. 그러면서 “그런(특정 후보의 왼팔, 오른팔인) 사람들이 쇄신을 얘기하고 질문서를 보낼 수 있나. 적반하장”이라면서 “그들을 빼면 (질문서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누가 앞장세우고 밥 먹였는지 알지 않나”라며 의심의 눈초리를 들이댔다.
서 의원 캠프는 이후 보도자료를 내고 “쇄신모임에 동참한 분들의 심정과 저의 마음은 하나”라면서도 “다만 모임의 구성과 향후 운영 과정에서 오해를 유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대 쇄신 방안으로 지난 19일 전대 출마 회견 때 제시했던 ‘당 선관위 산하 후보검증위 설치’를 재차 거론했다.
쇄신모임은 서 의원 측 주장을 일축했다. 모임을 공동 주도하는 하태경 의원은 통화에서 “가입 의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서 의원과 가까운 분도 있고 김 의원과 가까운 분도 있다”면서 “내부적으로 특정 후보를 밀자는 얘기도 나온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쇄신모임은 이날 ‘상향식 공천의 구체적인 방법론, 대표 취임 1년 뒤 공약 검증 중간 평가를 받을 용의가 있는지’ 등을 묻는 당·국정 쇄신 방안 질의서를 각 후보 진영에 전달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6-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