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부터 단독 연구로 등재, 제자 논문 요약… 지원비도 챙겨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공동 연구물을 단독 연구실적으로 등재하는 등 상습적으로 연구실적을 부풀려 왔다는 의혹이 18일 제기돼 도덕성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기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시스템(KRI)에 등록된 김 후보자의 연구실적을 확인한 결과 김 후보자는 2~4명의 공동 연구자가 있는 4건의 공동 연구실적을 단독 연구실적으로 등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KRI에 따르면 1998년 한국교원대 학회지 ‘교수논총’에 발표한 ‘대안교육운동 탐색에 관한 연구’ 논문은 김 후보자(제1저자)와 연구원 김모씨(제2저자)의 공동 논문이지만 KRI에는 김 후보자의 단독 연구로 등재됐다. 2003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연구용역 결과로 작성된 ‘수업실기능력 인증제 도입연구’도 김 후보자 외에 4명의 공동연구원이 있었지만 김 후보자의 단독 논문으로 등록됐다. 2012년 학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발표한 ‘핀란드 교원양성과정의 특징과 시사점’도 3명의 공동 연구 결과지만 김 후보자의 단독 연구로 등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2002년에는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학내 학술지에 공동 기재했지만 연구 성과는 단독 연구로 등록했다.
연구자들이 KRI에 직접 입력한 연구실적은 한국연구재단의 승인을 거쳐 대학정보공시(대학알리미)에서 확인되는 대학 전임교원 연구실적으로 인정된다. 이와 관련, 서울신문은 김 후보자의 해명을 듣기 위해 김 후보자와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유 의원은 “제자의 논문 성과를 가로채기한 것도 비도덕적이지만 더 심각한 것은 공동 연구 성과를 단독 연구로 본인이 둔갑시킨 것”이라면서 “고의적이고 상습적이었기 때문에 사회부총리로서 자격이 없다”고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김 후보자가 제자의 논문을 요약해 본인 명의로 학술지에 발표한 뒤 학술연구비 1000만원을 받아 챙겼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원비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인사청문회에서 소상히 밝히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4-06-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