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의 첨병은 기업이다] 한화케미칼

[창조경제의 첨병은 기업이다] 한화케미칼

입력 2013-07-18 00:00
수정 2013-07-1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함량 EVA 등 특화제품 집중 개발

석유화학 업계가 깊은 불황의 늪에 빠져 있지만 한화케미칼은 오래전부터 ‘레드오션’을 피해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을 해 왔다. 대규모 장치 산업의 특성상 생산 능력을 늘려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남들이 선점하지 않은 영역에 진출해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미래를 담보하기 때문이다.

고부가가치를 지닌 특화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한화케미칼의 연구진이 새 소재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한화케미칼 제공
고부가가치를 지닌 특화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한화케미칼의 연구진이 새 소재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한화케미칼 제공
한화케미칼은 지난해 9월 태양전지, 전선, 코팅 등에 사용되는 특화 제품인 고함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4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증설했다. 이로써 국내에서의 EVA 생산 능력은 연간 16만t이 됐으며 올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현지 기업과 합작해 건설 중인 공장이 건설될 경우 총 21만t으로, 세계 2위로 올라서게 된다. EVA와 같은 특화 제품은 범용 제품 대비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경기가 좋지 않을 때도 가격 하락 폭이 작아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가능하다. 태양전지용, 코팅용, 핫멜트 접착제 등에 사용되는 고함량 EVA는 다용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화 제품으로 초고압 케이블 소재인 ‘XLPE’도 세계 3위의 생산 규모를 자랑한다. 한화케미칼은 성장성이 높은 지역으로 중동 및 중국과 아·태 지역 등을 선정해 직접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 사업에서는 최근 전남 여수에 1만t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완공했으며 이로써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발전을 포함하는 완벽한 태양광 사업 수직 계열화를 구축하게 됐다. 탄소나노튜브 응용 소재의 판매 및 신규 응용 시장 발굴도 추진하고 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7-18 5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