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이 보수 진영의 참패로 막을 내린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접수된 부정선거 소송 건은 17일 현재 ‘0건’입니다. 부정선거 소송 접수는 ‘선거일 이후 30일까지’이지만, 직전 21대 총선 직후에 부정선거 소송이 100건을 훌쩍 넘게 제기됐던 것과 다른 형국입니다. 이번에는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각종 부정선거 가능성을 구두로 주장하는 정도입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서울신문 DB
선관위도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앞서 보수진영의 지적을 대거 수용한 게 주효했던 듯 합니다. 수검표를 부활시켰고, 문제의 QR코드(사전투표용지 일련번호)를 바코드로 바꿨으며, 사전투표함을 폐쇄회로(CC)TV를 통해 24시간 투명하게 공개했습니다.
부정투표에 대한 유권자들의 호응 역시 감소하는 분위기랍니다. 그간 10년 주기(2002년 보수 승리→ 2012년 진보→ 2020년 보수)로 양 진영이 질 때마다 ‘불복’의 이유로 부정선거를 내세웠으니 국민이 피로감을 느낄 만도 합니다. 역대 소송에서 부정선거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경우는 ‘0건’입니다. 지난 총선 때는 가짜 투표지 바꿔치기, 서버 해킹 등 126건의 소송도 모두 ‘문제없음’(기각 95건, 각하 8건, 일부각하·기각 2건, 소장각하 7건, 소취하 14건)이었습니다.
선관위 관계자는 “부정선거 소송은 결론까지 3년 가까이 걸리고 사회 통합 저해 등 부작용이 크다”고 했습니다. 수없는 시행착오 끝에 ‘신뢰’를 바탕으로 성숙한 선거 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걸까요. 기자의 질문에 그는 “반드시 그랬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명희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