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외식업 공생 통해 활로 찾자]
자재·인건비 2배 뛸 때산지가격은 제자리
유통비 비중 75% 달해
“코로나·장마에 희망도 쓸려가”

홍경이씨
전남 함평군 엄다면에서 양파를 재배하는 홍경이(60)씨는 19일 천지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 등급 외 양파를 들어 보이며 한숨을 내쉬었다. 엄다면 농민들은 양파 농사만 해서는 돈을 벌기 쉽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APC나 유통업체에 넘기는 양파값은 10년 전과 별 차이가 없는데 자재비와 인건비는 두 배가량 뛰어서다. 한 홉에 5만~6만원이던 종잣값은 12만원으로 뛰었다. 인건비도 일당 5만~6만원에서 10만~12만원이 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노동자들이 입국하지 못해 수확철엔 일당이 무려 15만~20만원까지 치솟았다.
올해 농민들이 받는 양파 산지가격은 ㎏당 500원이다. 하지만 소매가격은 상품 기준 이달 평균 2027원이다. 유통비용과 마진이 덕지덕지 붙어 소매가격에서 유통비용(1527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75.3%에 이른다. 홍씨는 “다른 물가는 다 올랐는데 유통 상인이 양파값을 올려 주지 않으니 농민 소득은 뒷걸음질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뜩이나 어려운데 역대 최악, 최장의 장마까지 덮쳤다. 전북 남원에서 파프리카 농사를 짓는 이수원(59)씨는 “농사를 지은 지 35년째인데 올해가 제일 힘들다”면서 “비가 억수로 쏟아져 한 해 농사를 다 망쳤다”고 토로했다. 최근 집중호우로 이 지역 파프리카 영농법인 40농가 중 15농가의 1만 8850평 농지가 침수됐다.
해발 450~600m 고랭지인데 물에 잠길 정도로 거센 비였다. 재배 물량의 30%는 일본에 수출하는데 수출길도 막혔다. 이씨는 “앞으로 두 달 정도는 전국 마트에 파프리카가 거의 없어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며 “가격이 뛰면 농민이 돈 버는 줄 알지만 팔 물량 자체가 없어 소득도 없다”고 말했다.
전남 나주에서 멜론 농사를 짓는 박성도(47)씨도 “주변 멜론 농가 비닐하우스 60동이 침수됐다”며 “코로나19 때문에 지난겨울 재배한 멜론을 헐값에 팔아 난방비와 인건비도 못 건졌다. 여름 농사로 만회하려고 했는데 장맛비에 희망도 다 쓸려 갔다”고 말했다. 박씨는 “다시 모종과 땅을 만들려면 한 달 이상 걸린다”며 “정부가 배수로 확장, 펌프장 설치 예산 지원을 더 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겉모습 중심의 농산물 등급 기준 때문에 발생하는 등급 외도 골칫거리다. 예컨대 양파를 수확하면 20%는 등급 외다. 양파는 둥근 공 모양이면서 지름이 6~9㎝ 사이여야 등급 판정을 받는다. 이보다 작거나 큰 양파, 타원형 양파 등은 모두 등급 외가 된다. 농민들은 등급 외 양파를 밭에 버리거나 정상 양파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전문 수거 업체에 넘긴다. 등급 외는 APC에서 양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도 나온다. 농민들이 골라내지 못한 게 섞여 들어와서다. 천지농협 APC는 연 4000t의 양파를 처리하는데 이 중 20%인 800t 정도가 등급 외다. 박성용 천지농협 APC 과장은 “농가에서 버린 등급 외와 합치면 전체 수확량의 30~40%로 어마어마한 양”이라고 밝혔다.
다른 농산물도 사정은 비슷하다. 연 2500t의 고구마를 처리하는 전남 서영암농협 APC에서도 등급 외가 매년 250t(10%)가량 발생한다. 정상 고구마는 ㎏당 3000원에 팔리지만 등급 외는 많이 받아야 1000~1500원 수준이다. 등급 외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투입하는 추가 노동력과 비용도 만만찮다. 이석수 서영암농협 APC 센터장은 “고구마는 등급 기준에 색깔도 포함돼 농민들이 색깔과 저장성을 좋게 하려고 밭에 토양개량제를 뿌릴 수밖에 없다”면서 겉모습 중심의 등급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shjang@seoul.co.kr
2020-08-2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