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반 위에서 완벽한 자유를 꿈꾸죠”

“건반 위에서 완벽한 자유를 꿈꾸죠”

입력 2011-10-21 00:00
수정 2011-10-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미교포 피아니스트 벤 킴 내한

다섯 살 때 처음 키보드를 만졌다. 건반을 누르면 알록달록 조명이 들어오는 카시오 장난감 키보드. 꼬마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키보드를 품고 다녔다. 맞벌이 부모 대신 꼬마를 학교에 통학시키던 이웃집 아줌마가 그 모습을 눈여겨보고 그의 어머니에게 전했다. 그때부터 피아노 레슨을 받았다.

이미지 확대
벤 킴 피아니스트
벤 킴 피아니스트
여덟 살에 독주회를 했고, 열두 살 때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선 제법 피아노 신동으로 소문났다. 그래도 일반 고교에 진학했다. 의사였던 어머니는 아들이 같은 길을 걷길 원했다. 소년도 과학·수학 등에 관심이 많았다. 고3 때 피아니스트 레온 플라이셔의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한 게 소년의 운명을 돌려놓았다. 오른손 마비에도 좌절하지 않고 왼손 피아니스트로 거듭난 것으로 유명한 플라이셔는 소년을 명문 피바디음대(존스홉킨스대)로 불러들였다.

2005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콩쿠르. 청년은 심사위원을 맡은 베트남 출신 피아니스트 당 타이 손에게 “이번 콩쿠르에서 가장 인상 깊은 연주를 들려줬다.”는 극찬을 받았다. 그런데 결선 문턱에서 쓴잔을 마셨다. 국내 언론들도 공동 3위 임동민·동혁 형제만을 주목했다. 절치부심했다. 이듬해 독일 뮌헨에서 열린 ARD콩쿠르 1위에 오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지난 17일 서울 삼성동 올림푸스홀에서 재미교포 피아니스트 벤 킴(28·김진수)을 만났다. 독일 베를린에서 전날 입국한 탓인지 조금 피곤해 보였다. 7박 8일간 한국에 머무는데 올림푸스홀(22일) 공연을 비롯해 다섯 차례나 연주 일정이 잡혔다. 앨범(쇼팽: 24개의 전주곡과 4개의 즉흥곡)도 20일 냈다.

그래도 동안(童顔)의 맑은 미소는 여전했다. 유독 여성팬이 많은 까닭을 알 만했다. “(여성팬이 많다는 말을) 가끔 듣긴 하는데 진짜인지는 모르겠다.”며 수줍게 웃는 그는 “열네 살까지 외할머니와 함께 살며 한국말을 배웠다. 그런데 독일로 간 뒤 (한국말) 실력이 확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베를린음대에서 클라우스 헬빅을 사사하고 있다.

새 앨범과 공연 레퍼토리로 쇼팽을 고른 까닭이 궁금했다. “쇼팽을 진짜 좋아하는데 한동안 의식적으로 멀리했어요. 2005년 쇼팽콩쿠르에 앞서 1년 반 정도는 종일 쇼팽만 연습했거든요. 좀 지겨웠나 봐요. 사람들은 쇼팽의 작품을 예쁘다고만 생각하는데 그건 빙산의 일각이에요. 묵직한 통증 같은 게 그 안에 담겨 있어요.”

늦깎이인 벤 킴을 이만한 위치에 올려놓은 것은 콩쿠르 덕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는 “콩쿠르는 일종의 필요악”이라면서 “콘서트와 콩쿠르의 중압감은 비교할 수 없다. 꾸준히 노력하고 연습하는 자만이 성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을 단련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취미로 피아노를 시작했다가 뒤늦게 진로를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충고를 부탁했다. 그는 “음악에 대한 관심이 50%, 다른 분야가 50%라면 음악을 택하는 게 낫다. 다른 길을 걷다가 뒤늦게 음악으로 돌아오려면 너무 힘들다. 음악을 하다가 다른 공부를 하는 건 상대적으로 쉽다.”고 말했다.

롤 모델에 대한 질문에는 한참을 생각하더니 “롤모델이란 건 그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까지 닮고 싶은 건데 피아니스트 중에는 없다. 피아니스트들은 연습도 혼자 하고, 연주 여행도 혼자 다니고, 공연도 혼자 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경주마처럼)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좁아진다. 그렇게 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이어 “사람들 앞에서 연주할 때 완전하게 자유롭고 싶다. 심리적인 부분과 연습량 모두 중요할 테지만 아직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글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사진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2011-10-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