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매듭서 발견한 도시의 해체구조

클립·매듭서 발견한 도시의 해체구조

입력 2010-09-10 00:00
수정 2010-09-10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일까지 세라 모리스 국내 첫 개인전

클립과 매듭은 무언가를 하나로 묶거나 연결하는 도구다. 하지만 그것은 항구적인 것이 아니라 언제든 해체할 수 있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도시를 소재로 한 영상과 회화 작업으로 잘 알려진 미국 작가 세라 모리스(43)의 신작 ‘클립과 매듭’ 시리즈는 클립과 매듭이 지닌 이러한 속성에 빗대 수시로 변형되고 해체될 수 있는 도시의 구조와 체제를 드러낸다.
이미지 확대
세라 모리스
세라 모리스


세라 모리스의 국내 첫 개인전이 오는 26일까지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 신관에서 열리고 있다. ‘클립과 매듭’ 시리즈와 작가의 7번째 영상작품인 ‘1972’가 전시됐다. 작가의 회화 작품은 반복되는 선과 선, 중첩되는 원과 원이 빚어내는 기하학적 형상의 추상 작업이다.

대표작인 ‘도시 시리즈’는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 마이애미, 로스앤젤레스, 중국 베이징 등 여러 대도시 건축물에서 받은 느낌을 격자 무늬, 교차하는 대각선, 원형 무늬를 이용해 끊임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포착되는 도시를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시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영상작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1972’는 1972년 독일 뮌헨 올림픽 때 이스라엘 대표팀이 테러에 희생된 사건을 소재로 했다. 당시 경찰 수석심리학자로 가상의 범죄 시나리오를 예측했던 게오르그 지버 박사의 인터뷰와 테러 현장 영상을 교차편집해 인간의 예측과 계획이 현실에선 전혀 다른 방향으로 치닫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실패의 가능성을 내재한 사회 구조를 환기시킨다.

세라 모리스는 대학에서 언어학과 정치이론, 영화이론을 공부하고 22살에 뉴욕 휘트니미술관에서 미술실기 프로그램을 수강하며 뒤늦게 작업에 뛰어들었다. 다양한 학문적 경험은 건축과 도시 심리학을 아우르고, 정치적 상황까지 담아내는 새로운 차원의 담론을 형성하는 자양분이 된 것으로 보인다. 11월17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미디어시티서울에서도 그의 영상작품 ‘베이징’을 만날 수 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9-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