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 아파트 일색인 최근 도심 아파트의 조경은 그림으로 그린 듯 완벽하다. 하지만 자연미보다는 인공미가 두드러져 그리 정이 가지 않는다. 수십 년은 묵은 아파트는 대부분 저층, 겉은 낡고 허름하다. 그러나 세월만큼 키와 몸피를 키운 나무들이 아파트 옥상을 넘어 볼 듯 사람과 건물을 울창하게 품는다.
‘나무처럼’을 읽다 보면 후자의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5층짜리 아파트 곁에 열 살 묵은 은행나무가 뿌리를 내린다. 나무는 고개를 슬며시 내밀어 창문 안을 빠끔 들여다본다. 한 뼘 두 뼘 키가 자라나면서 나무가 보는 풍경과 듣는 소리는 다채로워진다.
1층 피아노 교습실 아이들이 재재거리며 노는 모습, 나무를 화폭에 남기는 아저씨의 능숙한 손길, 다섯 강아지의 아빠 콩이의 알콩달콩한 일상, 혼자 가족들의 사진을 보며 어둠 속에 잠겨 있는 할머니의 뒷모습, 진회색 시멘트에 막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옥상까지….
나무가 건너다보는 풍경은 결국 우리 생의 어느 단면들이다. 행복한 웃음이 넘치다가도 느닷없이 덤비는 슬픔에 휘청인다. 설렘에 가득 차 있다가도 발 디딜 데 없는 막막함에 엎드리고 만다.
이토록 아름답고 애잔한 우리 삶의 소중한 순간들이 갈피마다 잔잔하게 흐른다. 마지막 장면은 결국 우리가 믿고 의지해야 할 가치를 일깨우는 듯하다. 작가는 과장하지 않은 부드러운 선과 색으로 이뤄진 그림으로 이야기를 담담히 채워 나간다. 2012년 볼로냐 라가치상(오페라프리마 부문·신인상)을 받은 이현주 작가가 4년 만에 펴낸 신작이다. 4세 이상.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4-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