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을 펼치자마자 진한 잉크 냄새가 훅 끼쳐온다. 점과 선으로 이뤄진 이국적인 문양의 먹색 그림을 손끝으로 더듬으면 오톨도톨한 촉감이 기분 좋게 간지럽다. 인도 현지에서 실크스크린(공판화) 기법으로 찍어낸 뒤 손으로 제본해 책마다 고유번호를 붙인 그림책, ‘꿈꾸는 소녀 테주’는 이렇게 시각뿐 아니라 후각과 촉감으로 독자를 먼저 홀리는 마법을 부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색적인 감각의 파동이 지나가고 나면, 작가의 나지막한 목소리가 연상되는 자전적인 이야기가 마음을 감싼다. 테주의 가난은 대물림된 것이다. 배를 곯지 않으려 아빠는 노래를 불러 사람들에게 돈이나 곡식을 얻고 엄마는 숲 속에서 씨앗이며 열매를 주워 모은다. 꿈꾸는 도시로 나섰지만 테주 가족이 찾을 수 있는 보금자리는 도심에서 밀려난 변두리의 누더기 천막 마을뿐이다. 테주가 결혼한 가네쉬바이 역시 아빠처럼 노래를 불러 벌이를 하는 남자. 순정한 눈빛을 지닌 남편은 테주에게 날개를 달아준다. 다른 사람 앞에선 노래를 부르면 안 되는 걸로 알고 있던 테주에게 노래를 불러보라, 그림도 그려보라 등을 떠민다. 인도 하층민이었던 테주가 화가가 될 수 있었던 사연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테주가 그리는 자동차엔 늘 두 여인이 있다. 한 여인은 운전을 하고 다른 여인은 창밖을 본다. “두 여인이 다 되고 싶다”는 테주의 말 속엔 질곡 같은 사회적 관습과 제도를 딛고 주체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기쁨과 자유를 맛본 강인한 여성이 움트고 있다. 작가는 집, 마을에 갇혀 있던 여성들이 각자의 목적지를 찾아 강철새(비행기)를 타고 날아오르는 그림으로 이런 메시지를 대신한다. 책은 지난해 프랑스에서 여성들의 권익 향상에 기여한 책에 주는 브린다시에르상을 수상했다. 5세부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6-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