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예가 송기진 ‘보성덤벙이’展
전통 도자 기법 중에서 ‘덤벙이’는 그릇을 희게 보이도록 기물을 백토물에 덤벙 담그거나 백토물을 부어 만드는 것으로 자연스럽고 기품 있는 미감으로 정평이 나 있다. 전남 보성을 중심으로 고흥, 장흥 등지에서 주로 제작된 초벌덤벙분장 도자기제조기법은 조선 조정의 명으로 민간에서 백자기의 제작과 사용이 금지된 시기(조선왕조실록 세조 12년, 1466년)에 나타난 독창적 도자예술이다. 초벌덤벙분장그릇을 대표하는 보성덤벙이는 처음부터 검붉은 태토를 이용해 기물을 만들어, 가마에서 세 번 구워내 만들어지기 때문에 더욱 정감어린 기운과 깊이를 지닌다. ‘백자가 아닌 백자’를 만들기 위한 조선 사그막의 연금술이 빚어낸 보성덤벙이 기법으로 만들어진 사발 몇 점이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건너가 지배계급의 다회에서 말차를 마시는 다완으로 사용되면서 국제적으로 유명해졌다. 일본에선 ‘호조고비키’라고 부르며 일본의 대명물(大名物·국보급)로 2점이 지정돼 있다.보성덤벙이의 재현과 계승 작업을 해 온 도예가 송기진(45)이 오는 16~25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뫼비우스갤러리 뫼비우스(경제통신사빌딩 2층)에서 17회 개인전을 갖는다. ‘휘영청 밝은 달을 보성덤벙이에 담그다’는 제목의 기획초대전에서는 전통 보성덤벙이 기법으로 만들어진 다완 등 다도구와 달항아리를 선보인다. 송기진은 1989년 도예를 시작해 무형문화재 천한봉, 조기정 등을 사사했으며 1998년부터 조선막사발의 세계에 입문했다. 한국·중국·일본에서 다수의 초대전과 순회전을 갖는 한편 2010년 한·중·일 덤벙도자 학술대회, 2011년엔 ‘조선분청사기 원류를 찾아서’라는 조사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8-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