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2점 새로 늘었다… 한국 최초의 시조집은 보물로 지정

국보 2점 새로 늘었다… 한국 최초의 시조집은 보물로 지정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4-26 10:48
수정 2022-04-26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와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변상도(불교경전 내용이나 교리를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가 국보로 새로 추가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가곡집(시조집)인 ‘청구영언’은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26일 국보 2점과 보물 5점 지정 소식을 알렸다. 이번에 지정된 전적 2건은 1993년 국보로 지정된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불상의 배 안에 사리와 불경을 넣는 일 또는 그 사리와 불경) 유물’ 중 추가로 발견된 것으로 조선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는 이미 지정된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2·3·5와 서지적 형태가 동일하다.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변상도’ 역시 이미 지정된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2-변상도’와 형태적으로 동일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구영언 본문 첫곡. 문화재청 제공
청구영언 본문 첫곡. 문화재청 제공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된 580수의 노랫말을 수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조집인 청구영언은 ‘해동가요’, ‘가곡원류’와 더불어 조선 3대 가집으로 불린다. 청구(靑丘)는 우리나라, 영언(永言)은 노래를 뜻한다.

청구영언은 조선인들이 선호했던 곡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틀을 짜고, 작가가 분명한 작품은 작가별로, 작자미상의 작품은 주제별로 분류했다. 작가는 신분에 따라 시대순으로 수록해 전승내역을 최대한 밝히고 있다. 청구영언의 분류 체계는 이후 가곡집 편찬의 기준이 됐을 정도로 후대에 끼친 영향이 크다. 2010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가곡(조선시대 전통 성악곡으로 관현악반주에 맞춰 부르는 선비들의 풍류음악)의 원천이 된 자료이기도 하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문화재청 제공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문화재청 제공
함께 지정된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사자의 모습을 한 뚜껑과 네 굽이 달린 받침으로 구성된 고려 시대 향로이다. 2007~2008년 동안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선박 ‘태안선’을 조사하던 중 나왔다. 다소 파격적이고 거칠게 표현된 사자의 형상이 기존에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 줬던 고려청자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이례적 모습으로 관심을 끈다. 제작사례가 희소한 상형청자로서, 발견 시기와 장소가 명확하고, 투박한 표현과 해학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매우 독특한 고려 시대 도자유물로 평가 받는다.

이밖에 명나라 티베트 불상 양식을 수용해 15세기에 조성된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달마대사의 교리를 정리한 달마대사관심론, 춘추시대 역사서인 춘추의 주석서 ‘춘추경좌씨전구해 권 1~9, 20~29, 40~70’ 등도 보물로 지정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