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은 좀 읽는데, 문학 책은 안 봐요.”
“왜요?”
“얻을 만한 정보도 없고… 왜 읽는지 모르겠어요.”
“아…”
14년 차 문학 편집자 김필균씨가 ‘문학하는 이’ 11인을 만나 기록한 인터뷰집 ‘문학하는 마음’(제철소)은 책 안 읽는 시대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문학하면 정말 먹고 살기 힘들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가 문학을 꿈꾸거나 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라고 보도자료에 적혀 있다. 소개팅남 앞에서 막혔던 말문을 열기 위해 책을 편다.
‘문학하는 마음’은 그림책 작가, 어린이·청소년 문학 작가, 시인, 소설가, 극작가, 에세이스트, 웹 소설 작가, 문학평론가, 서평가, 문학잡지 편집자, 문학 기자까지 문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문학’ 그 자체보다도 ‘노동으로서의 문학’을 부여잡은 이들의 이야기다.
그래서인지 주로 경제적인 혹독함에 대한 토로가 많다. 연극만으로는 먹고살기가 쉽지 않아 ‘자식 노릇’, ‘부모 노릇’과 같은 ‘노릇’이라는 말을 떠올리며 생활인으로서의 태도를 지니고(고재귀 극작가), 적극적으로 투잡을 권한다.(정여울 에세이스트) 서른줄까지 과외 일을 놓지 않았던 에세이스트가 투잡을 권하는 이유를 들어보자. “글을 쓰지 못할 때도 자기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가 있어야 또다시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를 낼 수 있지 않겠어요? 그렇지 않으면 돈을 벌기 위한 글쓰기를 하게 돼요.”(192쪽) 글쓰기 이외의 시간이 글쓰는 재료가 된다는 전언이다.
책에서 문학계 뒷 얘기를 듣는 재미도 쏠쏠하다. 흥행 보증 수표 같은 작품 해설로 유명한 신형철 문학평론가는 마감을 지키지 않는 평론가로 악명이 높단다. 왜 원고를 늦게 주는지, 늘 궁금했지만 독촉은 해도 ‘왜’는 묻지 않았던 편집자인 저자는 이번에는 기어이 물었다. 그랬더니 청탁을 받으면 거절을 못 하고, 일이 밀리니까 약속을 못 지키고, 그렇게 저자와 출판사에 폐를 끼치고, 너무나 미안한 마음으로 지내다가 글을 보내면 괜찮아졌다고… 평론가는 고백했다. “약속보다도 글의 완성도가 중요했다.”
그래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을 하는 이유는? ‘출판계 아이돌’ 박준 시인의 말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쓴다고 달라지지 않잖아요. 쓴다고 해서 내 주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이나 현실이 바뀌는 것은 전혀 아닌데, 그래도 쓰면 주변을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 바뀌는 것 같아요. 왜 여전히 쓰고 있느냐 생각하면, 외부를 바꾸지는 못하지만 내부에서 외부를 보는 시각이 바뀌기 때문인 거죠.”(99~100쪽) 결국 문학을 하는 게 나를 바꾸는 일이기 때문이라는 거다. 지금은 볼 일 없는 소개팅 남에게 적절한 대답이 될런지 모르겠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