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기자간담회…“30∼40년 내 모든 인간 영역 침범”
“아무리 강력한 컴퓨터도, 발달한 소프트웨어도 인간과 같은 의식은 전혀 없어요. 그들은 인공지능(AI)일 뿐이지 인공의식은 아니거든요. 높은 지능은 높은 의식 수준과 함께 가야 하지만 인공지능은 그렇지 못합니다.”
연합뉴스
질문듣는 유발 하라리
26일 오전 서울 중구 동화빌딩에서 열린 ’사피엔스’ 기자간담회에서 저자인 유발 하라리 작가가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사피엔스’는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과 함께 미래 인류를 전망한 책으로, 30개국에 출간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다. 책은 최근 이세돌과 알파고의 ‘세기의 대국’을 계기로 더욱 주목받았다.
하라리는 “인간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기술은 인공지능”이라며 “인간이 감정적 기술로 인공지능에 대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뛰어날 것이라는 확신은 없다”고 인공지능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어 “생물학을 공부해보면 알겠지만 감정은 인간이 결정을 내릴 때 필요한 생화학적 알고리즘일 뿐이며 신기한 현상은 아니다”라며 “인공지능은 인간의 얼굴 표정, 목소리만 가지고 감정을 알아차리고, 분석하는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고 덧붙였다.
하라리는 현재 인공지능에 대한 해결책은 없다며 “인공지능은 30~40년 안에 인간의 모든 영역에 침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인공지능의 발전은 현재 세대보다 자녀 세대에게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녀 세대가 40대에 들어섰을 때면 지금 배우는 모든 지식이 쓸모없어질 것이라는 것이 하라리의 주장이다.
하라리는 “현 교육체제는 산업시대를 맞아 인간을 살 수 있게 준비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앞으로 30~40년 후 어떤 세상이 될지 전혀 알 수 없다. 다만 지금과 전혀 다르다는 것만 인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아이들이야말로 선생님이나 연장자에게 배운 지식으로 인생을 준비해나가는 것이 불가능한 첫 세대가 될지 모른다”며 “지금 우리가 아이에게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은 ‘어떻게 늘 변화하면서 살 수 있는가’를 알려주는 기술일 뿐”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하라리는 인류의 미래에 비관적 견해만 제시하진 않았다.
그는 “마음은 과학이 이해하는 데 실패한 주제이기도 하다”며 “인간이 주관적인 감정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아무리 뛰어난 인공지능이라도 인간의 의식은 가질 수 없다”며 “알파고는 경기하면서도 불안과 기쁨을 느끼지 못한다. 지능은 높은데 의식은 없는 상태일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하라리는 인류가 새로운 역사적 방향성과 모델을 통해 기술과 인공지능으로부터 제기되는 위협을 극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년에 30~60일을 명상 수행을 통해 보낸다는 그는 ‘나는 누구인가’, ‘이 세상에서 나의 위치는 어디인가’에 대한 답을 항상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모델은 전쟁이나 갈등, 재앙으로부터 나온 경우가 많죠. 새로운 질서를 만들 때까지 죽음, 고통, 그리고 파괴를 불러오거든요. 하지만 꼭 그래야만 하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자면 핵무기를 통한 세계평화가 그렇죠. 핵무기가 나오고, 이를 토대로 강대국들이 정치·지정학적 틀을 바꿔놓으면서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기가 도래했어요. 이런 방식으로 기술과 인공지능을 평화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희망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2002년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중세 전생사로 박사학위를 받은 하라리는 현재 이스라엘 히브리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2011년 출간한 ‘사피엔스’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책은 출간 당시 재러드 다이아몬드, 마크 저커버그 등 유명인의 찬사와 추천이 이어지며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작년 11월 출간돼 12만부 이상 판매됐다.
하라리는 오는 1일까지 한국에 머물며 서울시 독서토론 모임, 경희대 등에서 ‘사피엔스, 인간은 정녕 쓸모없어지는가’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