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 조건 없이 한국으로 반환
미국 경매에 나왔던 도난 불화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東岳堂在仁大禪師眞影)이 국내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대한불교조계종과 함께 21일 서울 종로구 조계종 총무원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환수식을 열고 불화를 공개했다.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비단 채색, 97㎝×65㎝)은 18세기 활동했던 승려 ‘동악당재인대선사’(생몰년 미상)를 그린 초상화로, 전남 순천 선암사 진영각에 보관돼 있다 국외로 유출됐다. 1999년 조계종이 발간한 ‘불교문화재 도난백서’에 실린 해당 불화의 화기(畵記·제작 경위 등 불화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것)에 ‘건륭3년 계해2월○일’(乾隆三年癸亥二月○日)이라고 기재돼 있어 1738년에 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건륭은 1735년 즉위한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연호다. 문화재청은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고승의 초상화”라며 “언제 어떻게 해외로 유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3월 미국인 A씨가 B경매소에 이 불화를 출품한 사실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파악한 후 도난 문화재임을 확인했다. 즉각 이 사실을 조계종에 알렸고 조계종과 선암사는 불화 환수에 적극 나섰다. 문화재청은 같은 달 B경매소에 도난 문화재임을 통보하고 경매중지를 요청했고 경매소는 이를 수용했다.
이후 문화재청은 출품자 A씨와 2개월간 협상을 통해 반환에 합의했고, 불화는 지난달 말 고국의 품에 안겼다. 문화재청은 “경매에 나온 불화가 ‘불교문화재 도난백서’를 통해 도난당한 것임을 확인했다”며 “소장자가 조건 없이 한국에 반환하겠다고 해 기증 형태로 돌려받게 됐다”고 전했다. 문화재청과 조계종은 지난해 10월 ‘불교 문화재 도난예방 및 회수를 위한 협약’을 맺었으며, 이번 불화 환수는 업무협약 체결 이후 거둔 최초의 성과다. 심주완 조계종 총무원 문화재팀장은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은 의겸이라는 화승(畵僧)의 수제자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7-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