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종교 인구 55.1%…20대는 40% 밑돌아

작년 종교 인구 55.1%…20대는 40% 밑돌아

입력 2013-01-30 00:00
수정 2013-01-30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목협, 한국인의 종교 생활과 의식 조사 결과 발표

작년 ‘승려 도박 파문’과 ‘교회 세습’ 등으로 종교계 신뢰가 추락한 가운데 종교 인구도 소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5천1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는 작년 종교 인구는 전체 응답자의 55.1%로 2004년(57%)에 비해 1.9%포인트 줄었다.

특히 20대의 경우 남자는 39.8%, 여자는 39.5%만 종교인이라고 답해 전체 평균보다 15%포인트가량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종교별로는 개신교 22.5%, 불교 22.1%, 천주교 10.1%, 기타 종교 0.5%였으며, 비종교인은 44.9%에 달했다.

또 개신교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신앙생활의 이유를 묻자 마음의 평안을 위해(38.8%), 구원·영생을 위해(31.6%), 건강·재물·성공 등 축복을 받기 위해(18.5%)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목협은 “2004년 조사에 비해 구원·영생을 위해서라는 답이 15%포인트가량 하락한 대신 건강·재물 등 축복을 받기 위해서라는 답변은 10%포인트 상승해 기복적 양상이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낙태(41.5%), 혼전 성관계(51.3%), 외도(15.1%), 뇌물제공(30.2%) 등 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다거나 해도 무방하다는 답변이 2004년에 비해 5-15%포인트가량 늘어나 종교적 울타리가 약해졌음을 방증했다.

목회 세습에 대해서는 개신교인의 75.4%, 목회자의 71%가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목회자 개인 소득 납세 의무화에 찬성하는 응답자는 개신교인의 48.3%, 목회자의 49%였다.

전국 목회자 500명을 조사한 결과 월평균 사례비는 대도시 243만원, 중소도시 202만원, 읍·면 지역 163만원이었다.

대도시를 기준으로 목회자의 월평균 사례비에 기타 소득을 합한 금액은 287만원으로, 일반 국민(337만원)의 85.1% 수준이었다고 한목협은 전했다.

이밖에 성장하는 교회와 정체하는 교회, 감소하는 교회로 나눠 분석한 결과 성장하는 교회의 목회자가 다른 교회보다 주 평균 성경 열독 시간(9시간35분)이나 최근 1년 내 개인 전도 경험률(77.8%) 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목협은 오는 31일 강서구 화곡동 강남교회에서 신년기도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한국인의 종교 생활과 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