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이 운영하는 서울남산국악당은 오는 13일부터 28일까지,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전통에서 소재를 얻은 음악극 3편을 올린다. 지난 5월에 진행한 창작 음악극 공개 모집에서 선정된 작품으로, 대바구니와 지게, 굿을 이용해 만든 유쾌한 음악극이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첫 문은 천하제일탈공작소의 ‘천하제일탈놀음 추셔요’(13~14일)가 연다. 장님과 절름발이, 검둥강아지가 벌이는 좌충우돌 여행이야기를 아리랑 음악에 맞춰 펼친다. 봉산탈춤, 고성오광대놀이, 안동하회별신굿탈놀이를 이수한 젊은 국악인들이 밧줄과 여우가죽 등을 활용한 탈을 쓰고, 특유의 익살과 흥겨움을 표현한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상설공연 창작연희 작품 공모에서 대상을 받았다.
이어지는 공연은 창작그룹 노니가 1900년대 떠돌이 예인집단을 그린 ‘1+1추락(樂)남매’(20~21일)이다. 지게로 등이 붙은 샴쌍둥이를 만든 모습이 독특하다. 지게놀이를 비롯해 둥근 판을 막대로 돌리는 버나놀이, 상모돌리기, 탈춤 등 신명나는 전통연희가 펼쳐진다. 현대적으로 해석한 남사당패와 유랑극단의 의상과 선율, 장단이 흥미롭다. 지난해 문화부 상설공연 창작연희 대상작이다.
연희집단 더(The) 광대의 ‘굿모닝 광대굿’(27~28일)이 마지막으로 관객들을 맞는다. 부정풀이, 씻김, 길닦음, 축원 등 굿의 절차와 형식을 놀이와 결합해 굿에 대한 고정관념을 깬다. 2만원. (02)2261-0513.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7-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