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광장 ‘있잖아요… ’ 프로젝트
‘명박산성’과 ‘촛불시위대’의 충돌을 다독이는 언어로 바꾼다면?언제부터인가 광장은 각종 시위나 먹고 노는 장소로 굳어졌다. 이 광장이 민주적 공론장으로서의 광장(Agora)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국립현대미술관, 소마미술관, 아르코미술관 3개 미술관이 합동으로 진행하는 서울 청계천광장 ‘있잖아요’ 공공프로젝트는 여기서 출발했다. 제목 자체가 친근한 느낌이다. 남이 자기 발을 밟아도 버럭 화내기보다 어깨를 톡톡 두드리면서 “발 좀 치워주실래요.”라고 말을 거는 투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건축대학원 교수이기도 한 양수인(37) 작가의 설치작품이다.
양 작가는 “(작품이) 광화문에 설치된다는 얘기를 듣고 구글 검색을 해보니 촛불시위 이미지가 굉장히 많았다.”면서 “시위 내용이나 방법 등에 대해 옳다 그르다고 말하기 이전에 저렇게 부딪치지만 말고 조근조근 얘기해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4000만원을 들여 제작한 박스는 반투명 유리다. 그냥 두면 안이 캄캄해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누군가 들어가 페달을 밟으면 10~20초간 음성 녹음이 된다는 안내방송이 나오면서 형광등 30개가 일제히 켜진다.
환하게 밝아진 박스 안에서 무언가에 대해 말하면 이게 녹음되어 바깥으로 반복해서 나간다. 말하는 동안에는 유리 특유의 난반사를 통해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박스 안에 들어앉은 것 같은 효과를 줬다.
작가는 “안타깝게도 지금 한국 사회는 개인에게 발언의 자유가 그리 보장되는 것 같지 않다.”면서 “한 개인의 자유로운 발언이 여러 사람의 목소리로 들리기를,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한 가지. 작가는 이 작품을 시민의식 측정도구로 본다고도 했다. 녹음되는 내용이 단순한 욕지거리냐, 연애 고백이냐, 이벤트성 홍보냐, 민감한 정치적 발언이냐 등을 한번 살펴볼 수 있다는 얘기다. 만약 녹음 방송되는 의견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자신이 직접 참여해 마음에 안 드는 내용의 방송 빈도를 낮출 수도 있다.
작품은 10월 23일까지 매일 낮 12시부터 오후 9시까지 작동한다. 그런데 전시가 끝나면 수많은 목소리들은 그냥 허공으로 사라지는 것일까. 작가는 “재활용법을 두고 고민 중”이라고 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9-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