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백신 맞고 머리카락 뭉텅뭉텅 빠졌던 日여성 근황

모더나 백신 맞고 머리카락 뭉텅뭉텅 빠졌던 日여성 근황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11-20 10:44
수정 2022-11-20 1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탈모 증상을 겪은 日여성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탈모 증상을 겪은 日여성 2021년 6월 코로나19 모더나 백신 1차 접종 후 탈모 증상(왼쪽)을 겪었던 일본 여성 A씨. 이후 탈모 치료 과정에서는 흰머리(오른쪽)가 자라났다.
A씨 블로그 캡처
지난해 코로나19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뒤 탈모 증상을 겪었던 일본의 20대 여성이 근황을 공개했다.

일본 여성 A(29)씨는 지난달 자신의 블로그에 출산 소식과 함께 자신의 모발 상태를 함께 전했다.

A씨는 이제 머리를 묶을 수 있을 정도로 모발이 자랐다면서 자신의 뒷모습이 담긴 사진을 공개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머리를 모아 머리끈으로 짧게나마 묶을 수 있을 정도로 머리가 자랐다. 옅은 금발로 부분염색을 한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탈모 치료 과정에서 자라난 흰머리를 ‘헤어 매니큐어’로 염색한 것이라고 A씨는 전했다.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탈모 증상을 겪은 日여성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탈모 증상을 겪은 日여성 2021년 6월 코로나19 모더나 백신 1차 접종 후 탈모 증상을 겪었던 일본 여성 A씨. 1년여가 지나 10월 중순 공개한 A씨의 모발 상태.
A씨 블로그 캡처
A씨는 지난해 6월 29일 모더나 백신 1차 접종 후 이틀째부터 탈모 부작용을 호소한 바 있다. 접종 당일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팔 통증으로 잠에서 깼다고 한다. 발열도 없었다.

그러나 사흘째인 7월 1일 온 몸에 두드러기가 났고 머리카락이 눈에 띄게 빠지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날 A씨는 욕실 배수구에 머리카락이 “쥐 1마리 크기”만큼 수북이 쌓인 것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후 7월 7일에는 손 한 가득 머리카락 뭉텅이가 잡혀 병원을 방문했고, 7월 14일부터는 가발을 쓰고 출근했다고 전했다.
탈모증이 시작되고 A씨는 가발을 쓰고 출근했다. 블로그 캡처
탈모증이 시작되고 A씨는 가발을 쓰고 출근했다. 블로그 캡처
당시 A씨가 블로그에 사진으로 공개한 두피 상태는 심각했다. 대부분의 모발이 빠져 두피가 그대로 드러났다.

A씨는 기저질환도 없었으며 병원에서도 갑작스러운 탈모증의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이후에도 A씨는 자신의 탈모 후 과정을 블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알렸다. 탈모는 접종 3주 후쯤 멈췄으며 지난해 9월부터 스테로이드 요법을 동원해 탈모 치료에 들어갔다.
일본의 20대 여성이 모더나 1차 접종 후 탈모증에 걸렸다고 주장했다. 블로그 캡처
일본의 20대 여성이 모더나 1차 접종 후 탈모증에 걸렸다고 주장했다. 블로그 캡처
다행히 머리카락이 자라기 시작했지만 흰머리가 자라났다. A씨의 블로그에 따르면 흰머리의 비율은 점점 줄어 현재 10%가량 된다고 한다

A씨의 블로그에는 비슷한 증상을 겪은 사람들의 경험담과 응원의 댓글이 이어졌다. A씨는 지난 2월부터는 ‘LINE 만화’에서 자신의 탈모 이야기를 웹툰으로도 연재하고 있다. 그림은 웹툰 작가가 그리고 A씨는 스토리를 제공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