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폭 현장서 日 겨냥한 교황 “핵무기금지조약 모두 참가를”

원폭 현장서 日 겨냥한 교황 “핵무기금지조약 모두 참가를”

김태균 기자
입력 2019-11-24 22:54
수정 2019-11-25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가사키·히로시마 잇따라 찾아 “전쟁 위한 원자력 사용은 범죄”

이미지 확대
일본을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오른쪽) 교황이 24일 나가사키의 원자폭탄이 투하됐던 지점(폭심지)에 세워진 공원에서 반핵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교황 왼쪽에 세운 사진은 미국 종군기자 조지프 오도널이 찍은 ‘소각장의 소년’으로 원자폭탄 투하 직후 죽은 동생을 등에 업은 한 소년이 소각장에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 나가사키 AFP 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오른쪽) 교황이 24일 나가사키의 원자폭탄이 투하됐던 지점(폭심지)에 세워진 공원에서 반핵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교황 왼쪽에 세운 사진은 미국 종군기자 조지프 오도널이 찍은 ‘소각장의 소년’으로 원자폭탄 투하 직후 죽은 동생을 등에 업은 한 소년이 소각장에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
나가사키 AFP 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24일 제2차대전 때 원자폭탄이 투하됐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를 찾아 “핵무기 없는 세상의 실현을 위해 우리 모두 힘을 모으자”고 호소했다.

교황은 이날 오전 원자폭탄 투하 지점에 조성된 나가사키 폭심지공원에 도착해 헌화, 기도, 묵념을 한 뒤 준비한 반핵 메시지를 발표했다. 그는 “핵무기 무기 제조와 개량은 끔찍한 테러 행위”라며 “핵무기를 가졌건 안 가졌건 상관없이 모든 사람과 국가가 핵무기 폐기라는 이상의 실현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발·생산·비축·위협 등 모든 핵무기 관련 활동을 포괄적으로 금지한 유엔 핵무기금지조약(TPNW) 동참을 각국에 촉구하며 “신속하게 행동에 옮겨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교도통신은 TPNW에 참가하고 있지 않은 일본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했다. 일본은 세계 유일의 피폭국이면서도 미국의 눈치를 보며 TPNW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교황은 나가사키 야구장에서 3만명의 가톨릭 신자가 모인 가운데 방일 첫 미사를 집전했다.

저녁에는 최초의 피폭지인 히로시마의 평화기념공원을 방문, “많은 사람의 꿈과 희망이 한순간 섬광과 화염에 의해 스러져 간 이곳은 전 인류에게 새겨진 기억”이라며 “나는 평화의 순례자로서 이곳을 반드시 방문해야 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전쟁을 위해 원자력을 사용하는 것은 범죄 이외의 그 어떤 것도 아니다”라며 “핵전쟁 위협으로 상대를 겁박하면서 어떻게 동시에 평화를 제안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지난 23일 3박 4일 일정으로 일본에 온 프란치스코 교황은 1981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이어 두 번째로 일본을 찾은 교황이다.

일본의 가톨릭 신자는 약 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0.35% 수준이다. 한국은 지난해 말 기준 11.1%(586만 6510명)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9-11-2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