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8살 여아, 한달 내내 살아있는 유충 토해내
병원 “나방파리 유충…화장실에 다량 서식”
여름철 화장실에 출몰…하수구 청소 중요

나방파리. 자료 : 질병관리청 <위생해충 분류군별 정보집>
중국에서 한 어린이가 살아있는 벌레를 토해내는 증상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연이 전해졌다. 이 어린이가 토해낸 벌레는 국내에서도 여름철에 화장실에서 흔히 보이는 ‘나방파리’의 유충으로, 가정 내에서 급속도로 개체 수가 늘어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초기 방제가 중요하다.
23일 중국중앙(CC)TV 온라인판 등에 따르면 최근 장쑤성 양저우시에 사는 A(8)양은 한 달 넘도록 살아있는 벌레를 토해내는 증상을 보였다. A양의 몸에서 나온 벌레는 약 1㎝ 크기의 길쭉한 애벌레 같은 형태였고, 한 번 토할 때마다 한두 마리에서 네다섯 마리씩 나왔다.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구충제를 처방받아 먹었지만 호전되지 않자 A양의 부모는 A양이 토해낸 벌레를 컵에 담아 양저우시의 한 대형병원을 찾았다. 병원은 쑤저우 대학 부속병원과의 원격 합동 진료와 시 질병통제당국의 자문 등을 거쳐 A양의 몸 속에서 나온 것이 ‘나방파리’의 유충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나방파리는 덥고 습한 여름철에 접어들면 화장실에서 흔히 보이는 하트 모양의 날개를 가진 벌레다. 나방파리의 유충은 화장실이나 정화조 등 물이 고여있는 습한 환경에서 발생해 배수구나 벽면 틈새, 화장실 바닥 등에 쌓인 유기물을 먹으며 성장한다.
A양의 집 화장실에도 나방파리가 대량 서식하고 있었으며, 유충이 흐르는 물을 통해 A양의 몸 속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A양의 부모는 “꽤 오랫동안 집 화장실에서 검정색의 작은 나방이 날아다녔다”고 설명했다.
양저우시 질병통제센터 관계자는 “화장실에서 이를 닦고 물로 입을 헹구거나 변기의 물을 내리다 물이 튀는 상황에서 나방파리의 유충이 아이의 입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갔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화장실 습한 환경이 최적의 번식 환경”질병관리청의 ‘위생해충 분류군별 정보집’에 따르면 나방파리는 4월에서 11월 사이에 출현하며 특히 5~6월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한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나방파리가 매개한 감염병은 보고된 바 없다. 다만 암컷 한 마리가 산란하는 알이 많게는 100개에 달해 급속도로 개체 수를 늘리며, 사람의 눈과 코, 입에 자극을 일으키고 음식물에 섞여 들어가는 등의 피해를 초래한다.
가정 내에서 나방파리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배수구에서 서식하지 않도록 청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장실 배수구에 뜨거운 물을 부어 유충을 박멸하고 배수구와 벽면을 꼼꼼히 씻어 유충의 먹이가 되는 세균과 유기물을 제거해야 한다.
또 화장실 환기를 자주 해 벽면과 바닥 등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나방파리의 살충제로는 주로 피레스로이드 계열이 사용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