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라이 무기징역 버금갈 듯… 다음 타깃은 측근 링지화 유력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에 대한 조사 사실을 발표하면서 ‘동지’라는 호칭을 생략한 것을 두고 그에 대한 사법처리가 신속하고 엄중하게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인민망은 30일 “당국이 ‘동지’ 호칭을 쓰지 않은 것은 저우융캉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됐고, 기율 위반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해 결론(처벌 수위)만 정하면 된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저우융캉의 혐의는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뇌물 수수, 폭력 조직 결탁, 살인 사건 연루, 여자 문제 등 다양한 추측이 나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국의 태도와 언론 분위기로 볼 때 저우융캉이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처럼 무기징역 등 극형을 선고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에 대한 엄벌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천명한 반부패 의지를 구체화하는 것인 데다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해 저항하는 다른 원로 세력들에 대한 일벌백계의 경고성 의미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음 타깃은 누가 될 것인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보시라이, 저우융캉 등과 함께 정변을 기도한 것으로 전해지는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의 처벌은 확실시된다. 지난 6월 친형 링정처(令政策) 산시성 정협 부주석 낙마 뒤 다른 친·인척들도 줄줄이 구속됐다. 일가를 통해 전력업계를 장악해 ‘전기 호랑이’로 불리는 리펑(李鵬) 전 총리, 일가 부정 축재가 폭로된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 아들 비리설이 나오는 허궈창(賀國强) 전 중앙기율검사위 서기 등도 거론된다. 그러나 다른 전직 지도부까지 처리할 여력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7-3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