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항천국, 첫 소행성 탐사선 발사 성공
톈원2호 이어 톈원 3호 발사해 화성 샘플 채취

29일 오전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중국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톈원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시창 신화 연합뉴스
중국의 우주굴기가 미국과의 치열한 기술 경쟁 속에서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다.
중국 국가항천국(CNSA)은 29일 새벽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중국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톈원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예정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톈원2호의 임무는 지구 근처 소행성 카모오알레와(2016HO3)에서 표본을 채취하고 주대 혜성 311P를 탐사하는 것이다.
2016년 발견된 카모오알레와는 지름 40~100m의 작은 천체로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카모오알레와는 하와이 언어로 ‘흔들리는 천체’란 뜻이다.
‘우주 화석’으로 불리는 소행성은 약 45억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형성돼 톈원2호가 가져올 표본은 지구 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가 될 예정이다.
톈원 임무의 부책임자인 류젠쥔 박사는 “소행성을 연구하면 지구 진화와 태양계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국제우주정거장과 별개로 독자적으로 건설해서 운영하고 있는 우주정거장 톈궁. 바이두 캡처
중국은 2028년 톈원3호를 발사해 화성 표면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지구로 가져올 계획이다.
톈원이란 이름은 중국의 유명 시인 굴원이 지은 장시 ‘천문(天文)’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하늘에 관한 질문이란 뜻이다.
한편 중국이 2021년부터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우주정거장 톈궁은 로봇을 이용한 자체 방어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날 톈궁과 미국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의 위성 스타링크가 부딪힐 뻔한 위험 때문에 방어 시스템을 설치한다고 전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 27일 스타십 로켓 9차 시험발사에 실패해 톈원2호의 성공 발사와 대조를 이뤘다.
지난 2021년 스타링크 위성이 두 차례나 평소 궤도에서 550㎞ 하강하여 톈궁과 3㎞ 이내로 근접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톈궁에는 각각 선저우12호와 선저우13호의 우주인이 탑승하고 있었다.
톈궁 방어 시스템은 작은 로봇 추진기가 위험한 침입 물체를 안전한 거리로 밀어내는 방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