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bc뉴스 캡처
“침략 당하면 미국 대응”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해 대만, 유럽(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나토) 등과의 동맹은 아프가니스탄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최근 미군이 철수하면서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장악한 바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일 미 ABC 방송 인터뷰에서 한국과 대만, 유럽의 동맹을 언급하며 이 같이 말했다. 내전 상태인 것은 물론 국방력도 약한 아프간이 한국 등과 비교할 대상은 아니라는 해석이다.
또한 이들 국가가 침략이나 적대적 행위에 노출될 경우 미국이 상호방위 조약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인터뷰는 지난 15일 아프간이 탈레반에 함락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아프가니스탄 카불이 탈레반 수중에 떨어지기 직전인 지난 15일 밤 늦게 카불 국제공항을 떠난 미군 수송기 안에 화물 대신 태워진 640명의 아프간인들 모습이다. 미군 항공수송대 제공 AFP 연합뉴스
이는 최근 미국의 동맹국들이 미군 주둔 등을 통한 미국의 안보 역할에 대한 신뢰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것을 불식시키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비슷한 맥락의 언급이 지난 17일(현지시간)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주한미군 감축 의향이 없다고 밝히면서 나왔다.
그는 “(바이든)대통령이 거듭 말했지만, 한국과 유럽 등에서 미군을 감축할 의향은 전혀 없다”며 “한국, 유럽 등에는 내전 중이 아니더라도 외부 적으로부터 동맹 보호를 위해 오랜 시간 (미군이)주둔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아프간에서 우리가 제시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전언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데 이어, 바이든 대통령도 직접 유력 방송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앞서 20년여 전 아프간 전쟁을 수행한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국무장관을 지냈던 콘돌리자 라이스는 지난 18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를 통해 한국전쟁(6.25전쟁) 종료 후 미군이 수십년 동안 주둔해온 한국의 사례를 들며 “미군이 아프간에서 너무 빨리 철군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다연장 로켓 정비하는 주한미군
후반기 한미 연합지휘소훈련이 시작된 16일 경기 동두천시 캠프 케이시 미군기지에서 미군이 대구경 다연장 로켓(MLRS)을 정비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어 “이렇게 말하겠다. 나는 그들이 국제 사회에서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받는 것을 원하는 지에 대해 일종의 실존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탈레반이 아프간을 떠나려는 미국인들에게 안전한 통로를 제공해 줄 지도 확신할 수 없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군의 아프간 철군 시한으로 정한 이달 31일까지 모든 미국인을 철수시키도록 노력하겠지만 만일 이후에도 남은 미국인이 있다면 미군이 계속 주둔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