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에 억류된 지 15개월 만에 혼수 상태로 풀려나 가족들에게 인도됐던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결국 세상을 떠났다.
부모들은 북한 당국으로부터 송환돼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땅을 다시 밟은 웜비어가 22세 젊은 나이에 운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유족은 성명을 내 우리 아들 오토 웜비어가 집으로의 여행을 마치게 됐다고 알리게 돼 슬프다. 사랑하는 가족에게 둘러싸여 오토가 오늘 오후 2시 20분 눈을 감았다”고 밝혔다.
중국 여행업체가 모객한 관광객으로 북한에 들어갔던 웜비어는 호텔에서 북한 체제 선전물을 훔치려 했다는 이유로 억류돼 15년 중노동 형을 선고받았다. 북한 당국은 그가 보튤리즘과 수면제를 복용해 의식을 잃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 의료진은 이 주장에 허점이 많다고 반박해왔다.
가족들은 이어 “말할 수도 없었고 볼 수도 없었으며 말로 하는 지시에 따를 수도 없었다. 그는 매우 불편해 보였으며 거의 화를 내는 것 같아 보였다. 우리는 그의 목소리를 다시 들을 수 없었지만 그의 얼굴은 하루 동안 내내 변해갔다. 조금은 평화로워 보였다. 집에 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것이라고 우리는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족들은 북한 당국이 석방한다고 통보하기 얼마 전에야 그의 용태를 알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북한 당국에 15개월 억류됐다 풀려나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집으로 돌아와 결국 19일 세상을 떠난 오토 웜비어가 재판을 받던 당시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당국에 15개월 억류됐다 풀려나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집으로 돌아와 결국 19일 세상을 떠난 오토 웜비어가 재판을 받던 당시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