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이 몇 달 전 네이버의 동영상 중심 SNS 서비스 ‘스노우’를 인수하려다가 불발에 그쳤다는 보도가 뒤늦게 나왔다.
페이스북은 올해 여름 스노우를 인수하려고 시도했지만 네이버의 반대로 무산됐다고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가 31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당시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 지역에서 스노우가 인기를 끌고 있다는 이야기를 접하고 이해진 네이버 의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인수 가능성을 타진했다.
하지만 네이버 측은 지난 7월 일본 모바일 메신저 자회사인 라인을 뉴욕과 도쿄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스노우도 비슷한 성과를 낼 수 있으리라 보고 페이스북의 제안을 거절했다.
페이스북 이외에도 중국의 텅쉰(騰迅·텐센트)과 알리바바 등 IT기업들이 스노우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관계자는 테크크런치에 “스노우가 여러 회사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특정 기업의 이름은 언급하지 않았다.
스노우는 10초 안팎의 짧은 동영상으로 소통하는 SNS 서비스로 200여개 동물 가면과 36개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꾸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냅챗의 서비스와도 유사해 ‘아시아판 스냅챗’으로도 불린다.
지난해 9월 선보인 이래 현재까지 다운로드 건수는 총 8000만 건에 달한다.
네이버는 지난 7월 자회사인 캠프모바일에서 스노우를 분리해 독립 법인을 만들었으며 지난달에는 라인을 통해 스노우에 46억 엔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페이스북은 올해 여름 스노우를 인수하려고 시도했지만 네이버의 반대로 무산됐다고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가 31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하지만 네이버 측은 지난 7월 일본 모바일 메신저 자회사인 라인을 뉴욕과 도쿄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스노우도 비슷한 성과를 낼 수 있으리라 보고 페이스북의 제안을 거절했다.
페이스북 이외에도 중국의 텅쉰(騰迅·텐센트)과 알리바바 등 IT기업들이 스노우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관계자는 테크크런치에 “스노우가 여러 회사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특정 기업의 이름은 언급하지 않았다.
스노우는 10초 안팎의 짧은 동영상으로 소통하는 SNS 서비스로 200여개 동물 가면과 36개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꾸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냅챗의 서비스와도 유사해 ‘아시아판 스냅챗’으로도 불린다.
지난해 9월 선보인 이래 현재까지 다운로드 건수는 총 8000만 건에 달한다.
네이버는 지난 7월 자회사인 캠프모바일에서 스노우를 분리해 독립 법인을 만들었으며 지난달에는 라인을 통해 스노우에 46억 엔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