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적 사랑”…나치수용소서 만나 70년 해로한 호주 노부부

“운명적 사랑”…나치수용소서 만나 70년 해로한 호주 노부부

입력 2016-08-20 13:26
수정 2016-08-20 1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홀로코스트 생존 호주인 90대 부부 “지금도 느낌은 똑같아”

지기 지크라이스(93·오른쪽)와 한카(91) 부부 [출처: 호주 공영 ABC 방송]
지기 지크라이스(93·오른쪽)와 한카(91) 부부 [출처: 호주 공영 ABC 방송]
70여년 전 폴란드의 나치수용소에서 첫눈에 반한 호주의 90대 부부가 한결같은 사랑을 이어오며 해로하고 있다.

주인공은 멜버른에 사는 93살의 지기 지크라이시와 91살의 한카 부부.

두 사람은 폴란드의 체스토코바 수용소에 갇혀 지내던 1944년 말, 20대 초반과 10대 후반의 나이로 처음 만나 지금까지 운명적인 사랑을 가꿔오고 있다.

지기는 “우리 눈이 마주쳤을 때 난 심장이 멎는 줄 알았다”며 “지금도 그녀를 바라볼 때면 똑같은 느낌이다. 여전히 아름답다”라고 데일리 메일과 ABC 방송 등 호주언론에 최근 말했다.

당시 수년째 갇혀 있었던 지기는 “해골 같은 몰골이었기 때문에 여자에게 관심이 없었다”면서 하지만 한카를 처음 본 순간에는 “미소 지으며 날 바라보는 아름다운 두 눈이 있었다. 이전에는 결코 볼 수 없었던 일”이라고 소개했다.

두 사람은 서로 다가가 이야기를 나누었고, 지기는 숙소로 돌아가기 전 다시 만나자는 약속의 의미로 한카의 뺨에 키스했다.

한카도 “첫 키스를 기억한다”며 그 날을 영원히 기억하고 싶었던 만큼 첫날에 있었던 일을 잊지 않고 있다고 호응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뜻과 달리 수용소의 비인간적 환경 등 하루 앞의 운명을 예측하기 어려웠던 만큼 둘의 사랑도 곧 시험대에 올랐다.

무기공장에서 일하던 지기는 총알을 아주 작게 만드는 식으로 사보타주하고 있었고, 곧 독일 비밀경찰인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고 있다는 말을 듣게 됐다.

지기는 한카에게만 알리고 인근의 버려진 건설현장에 숨었다.

한카는 목숨을 걸고 연인에게 빵조각과 함께 영화 15도의 차가운 날씨를 버틸 수 있도록 담요를 가져다주었다.

한카는 두 번째로 지기를 찾은 날, 전에 없이 밝은 미소를 짓고는 “그들이 떠났다. 우리는 자유다”라며 수용소의 해방 소식을 전해왔다. 그들이 처음 만난 지 17일 만이었다.

그 다음 날 두 사람은 결혼했고, 이듬해 첫 딸을 낳았다.

1946년, 큰 딸 이블린과 함께. [출처: 호주 공영 ABC 방송]
1946년, 큰 딸 이블린과 함께. [출처: 호주 공영 ABC 방송]
둘은 1971년 호주로 이주했고, 결혼 50주년이 됐을 때는 멜버른의 딸 집 뒷마당에서 면사포를 쓰고 결혼식을 올렸다. 또 수용소에서 겪은 크나큰 고통을 사랑하는 가족들도 치를까 두려워 비밀로 하다가 이때서야 두 사람이 만난 사연 등을 가족에게 털어놓았다.

큰딸 이블린은 “엄마는 아직도 매일 밤 잠결에 소리를 치고, 아빠도 끔찍한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지기는 “우리는 많은 것을 성취했다. 많은 손자와 증손자가 있고, 그녀가 내 옆에 있다”라고 말했다.

지기는 또 “아내와 마치 하나인 것처럼 삶을 지내 왔다”며 “앞으로도 마치 나의 팔처럼 항상 나의 일부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