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출신 전쟁희생자 2만여명 야스쿠니신사에 합사…“가족 모르게 합사한 것이 정당한가…아버지 이름 빼달라”
A급 전범을 신으로 받드는 야스쿠니(靖國)신사에 한국인이 합사된 문제와 관련해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공개 질의서를 보냈다.야스쿠니신사의 한국인 합사 철회를 요구하는 소송을 낸 원고단체, ‘야스쿠니 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평화의 등불을! 야스쿠니의 어둠에 촛불 행동 실행위원회’ 등 한국과 일본 단체 관계자는 12일 오후 일본 내각부를 방문해 야스쿠니신사의 합사 문제에 관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보내는 질의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야스쿠니신사에 한반도 출신 전쟁 희생자 2만여 명이 합사되는 등 유족의 의견에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전사자를 합사하는 문제를 거론하고서 “야스쿠니신사가 미국 알링턴 국립묘지와 같은 시설이라는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 이에 대한 견해는 무엇이냐”고 따졌다.
아베 총리는 2013년 5월 미국 외교전문매체인 ‘포린 어페어스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미국 국민이 전사자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장소인 알링턴 국립묘지를 생각해 보라”며 자신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미 대통령이 알링턴 묘지에 가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양국단체는 야스쿠니신사가 태평양전쟁이 침략전쟁이 아니라 식민지 해방을 위한 싸움, 즉 성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아베 총리는 이런 역사 인식에 동의하느냐”고 물었다.
이들은 아베 정권이 안보관련법을 제·개정함에 따라 일본이 전쟁하는 국가가 됐다고 규정하면서 전사자가 발생하면 이들을 또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할지 아니면 다른 계획이 있는지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일제 강점기에 징병 돼 전사한 아버지의 이름을 야스쿠니신사 합사자 명부에서 빼달라며 소송 중인 이희자(73·여) 야스쿠니 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공동대표는 질의서를 전달하는 자리에서 “가족도 모르게 아버지를 합사한 것이 정당한 일인지 묻고 싶다”며 “이름을 빼달라는 것이 그렇게 어려우냐”고 물었다.
야스쿠니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이들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며 이곳에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 6천여 명이 합사돼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