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총선 앞두고 중도·개혁-보수파 주도권 다툼
이란 핵합의안(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이행을 놓고 이란 정부와 보수파의 주도권 다툼이 가열되고 있다.핵협상을 성사한 이란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JCPOA를 이행해 서방의 대(對)이란 제재 해제 시기를 앞당기려는 반면 의회와 군부가 중심이 된 보수파는 ‘너무 서두르면 미국에 속게 된다’며 제동을 거는 상황이다.
알리 샴카니 이란 국가최고안보회의(SNSC) 사무총장은 10일(현지시간) 이란 반관영 ISNA 통신에 “원심분리기 해체 작업이 ‘경고’때문에 중단됐다”고 말했다.
알리레자 자카니 이란 의회 핵합의안 특별위원회 위원장도 메흐르통신에 “포르도 핵시설의 원심분리기 해체 작업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이는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 원자력 청장이 2일 일본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이란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원심분리기 감축을 포함한 초기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한 지 8일 뒤다.
JCPOA에 따르면 이란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현재 가동 중인 원심분리기 1만9천기를 해체해 1세대 형 초기 모델인 6천104기만 남겨야 한다.
이 가운데 5천60기는 나탄즈에서 10년간 상업용(핵연료봉 제조용) 생산에 쓰이고 나머지 1천44기는 포르도 지하 핵시설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된다.
샴카니 사무총장이 ‘경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진 않았으나 이달 1일 이란 의회 보수파 의원들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으로 추정된다.
이란 의회 강경파 의원 213명은 미국과 EU가 대이란 제재 해제를 선언하기 전 JCPOA를 이행하지 말아야 한다는 서한을 1일 로하니 대통령에게 보냈다.
이란 정부 측에서 “이르면 올해 말께 JPCOA 이행이 끝나 대이란 제재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는 언급이 속속 나오면서 이란 보수파의 경계심이 바짝 높아졌다.
이는 단순히 보수파의 반미 노선 때문이 아니라 내년 2월 총선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이란 국민의 여론은 경제 회생에 대한 기대로 핵협상 타결을 지지하는 쪽에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보수파로선 총선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면 되도록 핵협상 타결이 가져올 실제 효과를 평가절하하는 여론을 형성하면서 제재 해제 시점을 선거 뒤로 늦추는 게 유리하다.
대이란 제재는 이란이 원심분리기 감축 등 JCPOA상 의무를 이행한 것을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검증하는 시점과 동시에 해제된다.
보수파의 반발기류를 의식한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지난달 “(12월15일)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가능한 군사적 차원’(PMD)의 사찰 보고서가 나오고 나서 설계를 변경을 시작하라”며 ‘속도 조절’을 지시했다.
JCPOA의 이행을 놓고 보수파의 반발이 구체화하자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0일 “핵협상이 없었으면 이란은 원유 한 방울도 수출하지 못하게 됐을 것”이라며 불만을 강하게 나타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