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앞둔 홍콩정부-시위대 의제조율 ‘난항’

대화 앞둔 홍콩정부-시위대 의제조율 ‘난항’

입력 2014-10-09 00:00
수정 2014-10-09 14: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행정장관 ‘자금수수 미신고 의혹’도 변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2017년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안 발표로 촉발된 홍콩 시민의 민주화 요구 시위 사태가 대화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정부와 시위대는 공식 대화를 하루 앞둔 9일까지 의제에 대한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 5일 예비 접촉을 시작한 양측이 아직 의제 등에 대해 합의하지 못하자 대화가 무산되거나 늦춰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정부 측은 10일 열리는 캐리 람(林鄭月娥) 정무사장(총리격)과 학생 대표 간 대화의 의제로 ‘정치제도 개혁의 헌정 기초와 법률적 규정’ 등 두 가지를 제시했지만, 학생 측은 ‘시민의 민주화 열망에 대한 정부의 대답’을 유일한 의제로 삼아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의제와 실행 계획 등이 확정되지 않아 대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9일 보도했다.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행정수반)의 퇴진과 전인대의 선거안 철회 등을 요구해온 시위대 내부에서도 대화가 이뤄지더라도 얻을 것이 없을 것이라는 회의론이 대두하고 있다.

이처럼 대화를 위한 정부와 시위대의 예비 접촉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렁 장관의 ‘정치자금 문제’가 변수로 떠올랐다.

호주 일간 디 에이지(The Age)는 렁 장관이 호주기업으로부터 2012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모두 400만 파운드(약 69억원)를 받고 신고하지 않은 의혹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행정장관실은 렁 장관이 과거 부동산 컨설팅 회사에 다닐 때 호주기업에 제공한 서비스와 관련해 대금을 받은 것으로, 취임하기 전에 대금 지급 계약이 이뤄졌기 때문에 신고할 필요가 없다고 해명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하지만 시드 호 사우-란(何秀蘭) 홍콩 공당(工黨) 의원 등 범민주파 의원들은 뇌물수수법 위반 의혹을 제기하며 렁 장관의 탄핵 절차에 착수하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조지프 젠(陳日軍) 추기경은 8일 학생들을 만나 “정부와의 협상에서 얻을 것이 없는데 계속 앉아서 시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에너지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며 점거 시위를 해제하라고 당부했다고 RTHK 방송이 보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